[발언대] 교통세 폐지전 득실 따져봐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요즘 교통세 존폐를 둘러싼 논의가 한창이다. 교통세는 목적세의 한 세목(稅目)으로서 휘발유에 부과해 도로.철도.공항.항만.대중교통 등 교통시설의 확충에 사용한다.

수혜자 부담원칙 아래 교통시설 투자의 수혜자인 승용차 운전자들에게 휘발유세를 물려 재원을 확충한다는 것이 도입의 취지였다. 교통세를 폐지하기 전에 먼저 생각해봐야 할 것은 과연 교통세 도입의 목적이 달성됐는가 하는 점이다. 굳이 정답을 장황하게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우리가 매일 겪는 일상생활 속에 답이 있다.

정부가 교통세를 폐지하려는 가장 현실적인 이유 중 하나는 국민의 조세부담 경감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볼 때 교통세의 폐지는 국민 개개인의 수입감소로 나타날 수 있다.

교통개발연구원의 통계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물류비용이 미국 등 선진국은 7~10%에 불과하나 우리나라의 경우 1998년 기준으로 16.5%다. 선진국과 대등한 경쟁을 하기 위해서는 물류비용의 차이만큼 인건비 등 다른 부문을 절감할 수밖에 없다.

교통세 폐지의 또다른 명목상 이유는 세수(稅收)운영의 방만함이다. 그간 교통세로 형성된 재원이 조세징수 목적에 부합하지 않게 사용됐던 것은 분명히 지적돼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폐지의 이유가 될 수는 없다.

오히려 방만한 운영을 개선해 징수 목적과 취지에 맞게 세수운영을 강화해야 할 일이다. 교통세가 '목적세 폐지' 라는 하나의 패키지 안에서 취급돼서는 안된다. 관련 정부부처 간의 정치적 논리가 아니라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한 뒤에 폐지 여부를 결정해도 늦지 않다.

조중래 명지대 교수 ·SOC 공학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