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페드컵] 쿠퍼 FIFA 대변인 '월드컵 완벽한 준비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월드컵은 컨페더레이션스컵보다 수십배, 수백배 규모가 큰 대회입니다. 이번 대회를 잘 치렀다고 결코 자만해서는 안됩니다. "

키스 쿠퍼 국제축구연맹(FIFA) 홍보실장 겸 대변인(사진)이 컨페더레이션스컵 미디어 담당관 자격으로 내한, 국내에서 벌어진 A조 예선을 지켜봤다.

그는 FIFA의 전 마케팅 대행사인 ISL 등에서 20여년간 미디어 관련 일을 하며 1982년 이후 다섯차례 월드컵에 관여하는 등 FIFA 주관 축구대회 참가 경험이 1백여회가 넘는 베테랑이다.

그는 미디어쪽 준비 상황을 제외한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지만 따끔한 충고도 빼놓지 않았다.

그는 한국의 대회 준비와 진행에 대해 "대체로 훌륭하다" 며 "특히 경기장과 부대시설, 미디어 부분은 완벽했다" 고 칭찬했다. 그러나 "월드컵은 컨페더레이션스컵과는 차원이 다른 큰 대회이기 때문에 더욱 더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이번에 의사 소통에 애를 먹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3일 수원 월드컵경기장에서 출입구의 경비요원 8명 가운데 영어를 구사하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어 불편을 겪었다" 며 "나이많은 택시 운전기사가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할 정도까지 기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월드컵을 1년 앞둔 시점에서는 실망스럽다" 고 말했다.

월드컵 준비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여러 차례 내한했던 그는 한국측 담당자들의 안일한 정신자세도 꼬집었다. 88년 서울올림픽을 잘 치렀다고 자랑하는 그들에게서 월드컵 준비에 지나치게 느긋한 인상을 받았다는 것.

그는 "미디어 분야의 경우 88년과 2002년의 상황은 시간적으로는 14년 차이지만 영원(eternity)에 가까울 만큼 엄청난 변화가 있었다" 며 "그동안 국제대회를 한번도 치러본 적이 없다는 마음가짐으로 월드컵을 준비해야 한다" 고 충고했다.

쿠퍼는 월드컵의 성공적 개최 여부는 개최국의 성적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그는 축구 불모지나 다름없던 미국이 94년 월드컵을 개최하면서 16강까지 진출, 미국 전역에 축구 열기를 불러왔던 사실을 예로 들었다.

신준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