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경제 선생님] 용돈교육은 액수보다 재량권이 중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아이들 용돈 교육을 하다 보면 아이들이 돈에 대해 너무 영악해지는 것은 아닌지, 너무 큰 돈을 쓰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는 부모가 적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물건 가격을 잘 판단하거나 용돈을 규모있게 쓸 때는 '영악하다'는 단어를 생각지 않습니다. 그러나 아이들이 물질의 가치를 돈의 가치로 표현한다거나 부모와 돈 문제를 명확하게 해결하려 할 때 그런 생각이 듭니다. 사실 아이들은 자신들이 아는 돈의 가치를 경제적 상황에 따라 표현하는 것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아이들이 가치를 화폐단위로 표현하고 의사소통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영악하다'라고 보지 말고 '똑똑하고 현명해졌다'라고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용돈이나 친척들이 주신 돈, 또는 집안 아르바이트를 해 받은 돈을 사용하는 데 아이에게 전적인 재량권을 주다 보면, 부모가 전에 사주지 않았던 장난감 등을 사는 데 쓰게 됩니다. 만일 아이가 쓰는 돈의 사용 목적이 부모가 자녀를 기르는 가치관과 어긋나는 것이라면 아이에게 돈을 그렇게 사용하는 것은 허락할 수 없다는 것을 그 이유와 함께 분명히 말해야 합니다.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부모의 가치관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는 큰 갈등이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단지 사용 금액이 크기 때문에 아이들의 재량권을 제한하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부모가 걱정하는 금액이라면 아이들은 저축을 통해 그 목표를 달성해갔을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아이들은 당장의 욕망을 통제하고 지연하며 자신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했을 것입니다. 부모의 걱정은 "이렇게 비싼 장난감은 사주지 않았을 것이다. 아이가 자기 돈이라고 이렇게 비싼 장난감을 사게 되면 돈의 가치를 모르게 되지 않겠는가"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아이들이 이렇게 목표를 달성해가는 과정을 살펴보면 부모가 5만원짜리를 사주었을 때보다 자신이 모은 돈으로 3만원짜리를 샀을 때 돈의 가치를 훨씬 더 현실적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아이들을 관찰해 보십시오. 아이가 자신의 돈을 쓸 때는 부모의 돈을 쓸 때보다 훨씬 의사 결정 시간도 많이 들이고, 신중해집니다. 금액과 관계없이 아이가 돈을 쓰기 위한 의사 결정 시간을 많이 들이고, 정보 수집을 더 많이 한다는 것은 아이가 돈의 가치를 진정으로 배워간다는 것입니다.

김정훈 원광대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