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한 국책사업] 일본선 정치권이 원칙 정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대형 국책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해가 엇갈려 사업이 무한정 지연되거나 아예 무산되는 경우는 비단 우리만의 일이 아니다. 일본 시마네(島根)현의 나카우미(中海)간척사업도 그랬다.

'일본판 새만금 사업' 으로 불리는 이 사업은 주무 부처인 농림수산성과 시마네현, 시민단체들과 정치권의 목소리가 뒤섞여 큰 혼란을 겪었다. 1962년 시작해 38년 만인 지난해 중단하기로 결판이 났다.

1차 공사 중단은 92년에 일어났다. 내부 간척농지 2천5백40㏊ 중 33%가 완공된 시점에서 시민단체들이 "생태계 파괴에 따른 피해를 어떻게 할 것이냐" 며 들고 일어났기 때문이다.

시마네현도 "전국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재첩과 김 생산량이 감소할 것" 이라며 거들었다. 그러나 대장성은 "이미 5백억엔이 투자된 만큼 끝을 봐야 한다" 며 정책결정을 망설이는 농림수산성을 몰아쳤다.

최종 결정은 정치권이 내렸다. 여기저기 끌려다녀선 어떤 국책사업도 제대로 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집권당인 자민당이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원칙을 마련한 것이다.

이 원칙은 정부와 지자체 등의 합의를 이끌도록 노력하되 ▶사업을 확정한 뒤 5년이 지나도록 착공이 안되고 있거나▶당초 계획보다 완공이 20년 이상 지연되고 있거나▶정부의 '국책사업 재평가 제도' 에 의해 예산이 동결됐거나▶사전 타당성 조사에 들어간 지 10년이 지나도록 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사업은 과감히 정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지난해 말 나카우미 간척사업을 포함한 대형 공공사업 2백33건을 과감히 중단했다.

오랜 시간을 두고 이해를 조정하는 데 성공한 사례도 있다. 도쿄(東京) 세타가야(世田谷)구에서 지바(千葉)현 이치가와(市川)시를 잇는 외곽순환도로 건설 사업은 고가도로 방식으로 할 것인지 지하도로로 할 것인지를 두고 무려 30년 동안 정부와 주민이 첨예하게 대립했던 사업이었다. 결국 지난 24일 일본 중앙정부는 "지역민의 말이 옳다" 며 기존의 '고가도로 방식' 주장을 철회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