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일본교과서' 문제 놓고 고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에 대한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입장은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고 있다.

청와대 박준영(朴晙瑩)대변인은 이에 관한 기자들의 질문이 있을 때마다 "외교통상부에서 잘 대응하고 있다" 고 대답한다.

최상룡(崔相龍)주일대사의 소환과 관련해 "청와대의 입장을 확인해 조치한 것" 이라는 얘기가 외교부에서 나오지만 金대통령의 언급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10일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 시점에서 金대통령이 공개적으로 개입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金대통령은 한.일 신 협조시대의 기조를 헝클어트리지 않으면서 교과서 문제를 풀 수 있는 해법을 찾고자 고심하고 있다" 고 전했다.

남궁진(南宮鎭)정무수석은 "이성적으로 차분히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 강조했다.

여기에는 김영삼(金泳三)정권 시절 독도 문제(1995년 11월)를 놓고 '일본의 버르장머리를 고치겠다' 고 한 YS의 발언이 대일 외교를 꼬이게 만들었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이 발언으로 일본 국민의 한국에 대한 감정이 악화돼 IMF위기 때 일본 자본이 일거에 빠져나가는 원인이 됐다" (朴대변인)는 게 청와대의 시각이다.

그러면서도 여론 동향에는 촉각을 세우고 있다. 崔대사를 전격 소환한 것도 '미온적 대응' 이라는 비난 여론에 몰린 결과라고 실무 관계자는 시인했다. 다른 청와대 참모는 "구체적인 대응 방안은 전문가 분석이 끝나야 가능하다" 며 "대통령이 직접 개입할 것인지도 그때 결정할 것" 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이한동 총리는 이날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국제적 공동대응 문제를 놓고 대통령이 고심 중" 이라고 소개했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