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 철책선 절단, 민간인 월북 가능성 추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강원도 철원군 최전방 3중 철책선이 절단된 것은 남측에서 민간인이 월북한 흔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추정이 제기됐다.

군과 국정원, 경찰 등으로 구성된 합동신문조는 26일 철책선 절단 현장을 정밀조사한 결과 북한군이나 공작원의 침투 보다는 민간인의 월북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했다고 국방부 관계자가 전했다.

철책선 절단 방향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나 있는데다가 남방한계선 이남 지역에 발자국을 포함한 대공용의점이 발견되지 않은 점에 비춰 남쪽에서 월북하는 과정에서 철책선이 끊어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합신조는 전방부대에 근무하는 장병들의 월북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했으나 아무런 특이상황이 발견되지 않아 민간인이 비무장지대(DMZ) 안으로 들어가 북쪽으로 넘어갔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는 게 군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합신조는 중대 범죄를 저지르고 수배중인 민간인이 정상적인 해외도피가 어렵게 되자 경계가 취약한 계곡 등을 통해 DMZ 안으로 들어간 뒤 절단기로 철책선을 끊고 월북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DMZ 지역 곳곳에 지뢰가 매설돼 있는데다 일반인이 남방한계선을 통과하기가 매우 힘든 점에 비춰 민간인 월북 추론은 설득력이 약하다는 지적이 군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특히 철책선 절단 방향도 월북 가능성의 유력한 근거로 제시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군 관계자는 "특수훈련을 받은 북한 공작원이나 군인이 절단기를 철책선 안쪽으로 밀어넣어 반대 방향에서 끊을 경우 남쪽에서 월북한 것으로 위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