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바이오산업 '무작정 유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인간지놈 해독과 함께 바이오(생물)산업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지방자치단체들이 대거 바이오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의 경우 2~3개의 연구센터를 중복 건립하겠다고 밝히는가하면 정치권까지 가세해 사업승인 및 내년 예산확보를 위해 벌써부터 중앙부처 로비에 나서는 등 과열기미를 보이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12일 지방자치단체로부터 향후 집중육성 예정인 산업부문별 사업계획을 받은 결과 대전.전남 등 7개 지방자치단체가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59개 사업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가 정부에 요청한 사업 예산은 향후 4년 동안 9천3백71억원. 그러나 올해 정부의 8개 부처 바이오 관련 예산은 3천38억원이며, 그나마 국책연구개발비와 바이오업체 창업 및 기존업체 지원 등 계속사업이 90%를 넘어 지방자치단체의 새로운 사업을 지원할 수 있는 예산은 2백억원에 불과하다.

경북도는 2005년까지 외국생물산업전문가유치 등 21개 사업에 모두 1천5백3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업내용을 보면 생물자원연구센터설립(2백억원), 바이오산업연구센터(30억원), 바이오기술연구센터(10억원), 연구소를 포함한 바이오테크노파크조성(4백억원) 등 통폐합이 가능한 연구소 사업이 포함돼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현재 K.S의원 등이 도 사업의 내년 정부예산 반영을 자신하고 있어 이미 발표한 사업 대부분을 추진할 것" 이라고 말했다.

전남도는 11개 사업에 모두 3천9백1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는데 이 중에는 도내 목포권.나주권.여수권에 각각 별도의 바이오연구센터를 두겠다는 계획까지 포함돼 있다. 도 관계자는 "도내 전 지역을 바이오단지화한다는 목표 아래 이미 P의원이 중앙정부와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고 말했다.

이밖에 강원도와 충북.경남도는 지역구의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바이오단지 조성과 해외 우수인력유치 계획 등을 짜고 있다.

생명과학연구원 김승호 선임연구부장은 "한정된 재원으로 바이오산업을 키우려면 지역별 특성에 맞게 한두 개씩 전문화해야 한다" 고 지적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관계자는 "정부가 올해 국가과학기술위원회 특별위 신설과 상반기 중 바이오기술 산업위원회 설치를 계획하고 있는 만큼 이들 기구를 통해 종합조정할 필요가 있다" 고 말했다.

최형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