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이상 고급인력 脫부산 심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부산이 다른 도시에 비해 노령화가 빠르고, 고급 인력 유출이 심해 정책 대안 마련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부산발전연구원 주최로 지난 22일 열린 '부산의 인구문제-현황과 대안'세미나에서 윤여문 통계청 부산통계사무소 소장은 "부산의 인구는 1995년 385만여명을 정점으로 매년 3만~5만명씩 줄어 2015년엔 349만여명으로, 2030년에 이르면 319만여명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 소장은 "전국 7대 도시 중에 출생자 수가 가장 적은 반면에 사망자는 점점 늘어나는 데다, 지난 15년간 65만여명이 타 지역으로 빠져나갈 정도로 인구 유출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부산은 또 전국 7대 도시 가운데 노령화가 가장 급속히 진행돼 현재 65세 이상 노령인구 비중 7.8%에서 2015년 14%를 넘어 고령사회로, 2023년께에는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윤소장은 내다봤다.

윤 소장은 지역 특성을 살린 해운.물류 산업 확대와 일자리 창출 등으로 인구 유출을 막고 환경과 문화 측면에서 삶의 질 향상을 꾀하는 정책을 펼쳐 고령화사회를 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이성호(부산대) 교수는 "대졸 이상 인구가 특히 많이 빠져 나가 더욱 심각하다"며 "이것이 장기적인 지역경제 침체 요인이 될 수 있어 첨단 산업과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으로 인재 유출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형구 부산경제연구소장은 "부산에서 빠져나가는 인구의 상당수가 양산 등 경남 지역으로 몰리는 것은 부산 제조업이 이들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며 "인구 역외 이전을 막기위해 경제 활성화와 산업구조 고도화 등이 뒤따라야 한다"고 제시했다.

강진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