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몰선 방치… 근해 항로 운항 겁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부산과 울산 앞바다에 침몰된 가스 ·화공약품 선박들이 방치되면서 사고위험도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부산해양수산청은 1999년 11월 부산시 북형제도 남동쪽 2.2마일 해상에서 침몰한 화공약품 운반선 등 3척의 배가 해양수산부로부터 사고위험이 매우 높은 집중관리선박으로 분류됐다고 4일 밝혔다.

이들 배가 침몰한 해역은 부산항 주 항로로 연결되는 해역으로 대형 컨테이너선 등이 수시로 운항하고 있는 곳이다.

95년 7월 부산 다대포 앞 옥도 북동쪽 1.9마일 해상에 침몰한 가스운반선 제13삼부호(6백68t)는 연료 40t과 부탄가스 3백82t을 실은 채 수심 56m위치에서 방치돼 2차 사고위험이 높다.

이 선박은 지난해 5월 해양부 조사결과 적재된 2개의 액화가스탱크 중 1번 탱크는 유실됐으며 나머지 탱크도 이탈시 다른 선박과 충돌하거나 폭발사고가 우려되고 있다.

또 95년 6월 침몰한 남퀵산드리아호(8천3백28t)는 부산항 주 항로인 부산 태종대 남동쪽 3.5마일 해상에 9백여㎘의 연료유를 싣고 침몰, 관리대상 선박으로 분류됐다.

이같은 침몰 선박은 사고 직후 기름유출 등 오염 사고가 생기지 않으면 별다른 조치 없이 방치되며 선사나 보험사 등도 침몰선 처리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울산항에도 정박지 3곳 중 2곳에 침몰선박이 방치돼 있다. 울산항 동방파제 남쪽 정박지 인근에 길이 45m,높이 4m 규모의 4백20t급 선박이 방치돼 정박 중인 선박의 닻이 걸리는 등 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울산항 정박지에는 연간 2천여 척의 유조선과 화학선이 대기하거나 태풍 때 대피해 사고 가능성이 높다는 것.

경남 마산항에는 부산∼일본 대마도 항로에 투입하기 위해 도입된 5백50t급 여객선이 91년부터 방치되면서 선박 접안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해양부 관계자는 “국내 연안에 모두 1천2백여 척의 선박이 침몰해 있다”며 “부산 앞바다 침몰 선박 중 추가 오염 우려가 높은 배에 대해서는 인양 대책을 세울 방침”이라고 말했다.

강진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