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 “도요타 사태 미국 차 감싸기 아니다”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54호 28면

미국 정부가 도요타 리콜 사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제너럴모터스(GM) 등 미 자동차업계에 특혜를 베풀고 있다는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레이 러후드 미 교통장관은 19일(현지시간) LA에서 “미 정부가 GM의 최대주주라는 사실과 도요타 리콜 사태에 대한 미 정부의 대처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전혀 없다”고 밝혔다.

러후드 장관은 또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최근 3년간 2300만 대의 차량에 대한 리콜 지시를 내렸으며 이 중 대부분이 미국산 자동차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도요타·혼다 자동차 등 일본 완성차 메이커들의 흠집만 잡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이는 24일 미 하원의 도요타 리콜 청문회를 앞두고 일각에서 제기되는 도요타 죽이기 음모론을 일축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최근 일본의 일부 언론들은 미 정부가 지분을 갖고 있는 GM과 크라이슬러를 돕기 위해 의도적으로 도요타 자동차 등을 흠집 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미 정부는 지난해 자동차 업체를 구제하는 과정에서 GM의 지분 61%, 크라이슬러의 지분 10%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일본 정부가 도요타 자동차의 대량 리콜 사태를 계기로 관련 제도를 개선해 자동차 결함이 발생할 경우 신속히 대응하기로 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0일 보도했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도요타가 리콜(무료 회수·수리)을 결정하기까지 시간을 끄는 바람에 문제가 악화됐다고 보고 자동차회사에 신속한 대응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일본 교통성은 자동차 회사들이 안전과 관련된 결함의 범위와 보고 횟수를 늘리도록 할 방침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