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주인되자] 9. 보행자를 위한 길…실종된 인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시민들은 걷기가 힘들다.

전국의 도로는 차량 위주로 설계됐고, 비좁은 보도는 각종 적치물과 노점.입간판이 차지하기 일쑤다. 그런가 하면 보도가 갑자기 끊어지고, 있어야 할 곳에 횡단보도도 없다. 사통팔달해야 할 길이 너무나도 불편하다.

회사원 민경수(閔慶洙.33)씨는 지난 4일 직장에서 나와 서울 한강의 한남대교로 향했다. 문득 강 건너 신사동까지 걸어가고 싶었다. 그가 한남대교 북단 쪽에서 다리 입구에 도착하자 검문용 바리케이드가 보도를 가로 막는다.

보도를 벗어나 차도를 걷기 세차례. 이윽고 다리 남단에 도착했지만 길을 건널 수 없다. 보도가 끊긴 것이다. 건너편 보도에 '인도 없음, 통행 금지' 표지판이 있다.

하는 수 없이 차도 두곳을 무단 횡단했다. 閔씨는 "보도가 갑자기 실종되다니 말이 되느냐" 고 말했다.

한강을 가로지르는 19개 교량 중 보도가 있는 곳은 15곳. 서울시는 "한남대교 외에 다른 교량은 인근 인도와 잘 이어져 있다" 고 설명했다.

그러나 확인 결과 실제로 걸어 건너기에는 위험한 곳이 많다. 반포대교 남단은 횡단보도 표지판이 있지만 차도 위 횡단보도 선은 지워져 알아볼 수 없다.

횡단보도가 있는지 모르는 차량들은 '일단 멈춤' 을 하지 않고 달린다. 잠수교의 보행로는 정비가 안돼 걷기 힘들다.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허억(許億)실장은 "도로나 교량을 보행자가 아니라 차량 위주로 건설해 왔기 때문" 이라고 지적했다.

도봉산 천축사 원공스님은 "길의 주인은 사람" 이라며 "사람이 마음놓고 걸어 다닐 수 있는 길을 확보하자는 캠페인을 벌여야 한다" 고 말했다.

서울시와 전국 지자체가 의욕적으로 건설 중인 자전거도로도 불편하기는 마찬가지다. 서울 강남역~양재역으로 이어지는 양재대로 우측의 자전거도로는 내렸다 탔다를 반복해야 한다.

자전거 도로가 끝나는 양재역 네거리에는 길을 건널 횡단보도가 없다. 가까운 횡단보도까지 4백여m. 대각선 방향으로 건너려면 한참 돌아야 한다.

강갑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