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일기] 신공항 빚더미 해결책 없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인천국제공항의 앞날에 빨간불이 켜졌다.

내년 3월 문을 열 예정이지만 벌써부터 시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어 '동북아 최고의 허브(HUB.중추)공항' 이란 목표가 흔들리고 있다.

당장 유일한 통로인 신공항 고속도로를 이용하려면 값비싼 통행료(승용차 편도 6천1백원)를 내야 한다. 공항이용료도 김포공항보다 6천~7천원을 더 내야 하고 주차료도 30%정도 올린다. 하나같이 이용객들에게 부담을 주는 소식뿐이다.

국내외 항공사들도 더 많은 부담을 안게 됐다. 비행기 이.착륙료 등 운항에 소요되는 비용이 김포공항보다 두배 이상 오를 것이기 때문이다. 이래서는 외국 항공사들이 신공항을 사용할 이점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정작 문제는 빚더미에 앉아 있는 인천국제공항공사로서는 어쩔 도리가 없다는 데 있다.

현재 공사의 부채는 3조1천억원. 여기에 개항 후 운영자금 소요 등을 감안하면 부채는 4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비싼 이용료를 받는 데도 불구하고 공항 첫해 예상수입은 5천3백억원이다. 이 중 이자로 4천4백억원을 내야 한다. 공항 관리비와 인건비를 빼고 나면 이자를 내기에도 급급한 상황이란 얘기다.

신공항이 부채 더미가 된 데는 정부의 책임이 적지 않다. 정부는 1992년 김포공항과 기능을 양분하는 수준의 신공항을 계획했다가 몇차례 설계변경을 거쳐 신공항을 국제선 전담 허브공항으로 만들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공사비가 당초 3조4천억원대에서 7조9천억원으로 늘었다. 그러나 정부는 95년 정부 투자지분을 40%로 묶어버렸고 나머지는 공사측에서 자체 조달토록 했다. 그 차액은 빚을 얻어 쓸 수밖에 없었다.

홍콩 첵랍콕(정부 지분 77%), 중국 푸둥(67%), 말레이시아 세팡(93%)등 외국 공항의 정부 지분에 비하면 아주 낮은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외국 회사에 투자를 조건으로 운영권을 넘기는 방안까지 거론할 정도다.

경실련 김한기 부장은 "부실은행에는 공적자금을 수십조원 퍼부으면서 정작 국민들의 편익과 직결되는 공항에는 돈을 아끼는 것은 모순" 이라고 꼬집는다. 이제라도 정부가 나서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강갑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