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고 입시 개편안 대안은 없나

중앙일보

입력

외고 입시 개편안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은 없을까. 전문가들은 “외고 본연의 취지를 벗어날 수 있는 일부 개편안은 수정·보완돼야 한다”며 “최소한의 외국어우수자 전형 신설과 내신 반영과목 확대·과목별 가중치 부여 등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외고 설립 취지에 맞는 전형 신설해야

외국어 우수자 전형 신설은 가장 뜨거운 쟁점 중 하나다. 토피아 교육전략연구소 이은주 소장은 “100% 자기주도학습전형으로만 외고 입학생을 선발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대성N스쿨 특목센터 김박현 실장도 “해당 언어에 대한 말하기·쓰기 실력은 뛰어나지만 ‘한국형 문법시험’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이 많다”며 “기존의 외국어우수자전형 등으로 이 학생들을 선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내신 반영과목 확대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있다. 1점 차로 내신 등급이 갈리는 상황에서 영어내신만으로 범위를 한정하면 ‘사교육 편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상JLS 입시전략연구소 문상은 소장은 “현행 계획대로 한다면 외고 입시에서 점수화 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는 영어 내신이 전부”라며 “내신 전과목을 반영하되 영어교과에 한해 지금과 같은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산점을 부여하면 될 것”이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전문가·교사 네트워크 확대… 신뢰 얻어야

학교측도 대안을 제시하고 나섰다. 월촌중학교는 올해부터 영어 교육 전문가와 교과서 저자간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 시험문제를 출제할 때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이 학교 김영임 교사는 “영어시험 한 문제, 수행평가 1점에 더욱 민감해질 학생·학부모를 위해 최대한 학교 시스템을 객관화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생활기록부와 추천서를 작성하는 기준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불암중 최용규 교사는 “당락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만큼 내부적으로 분명한 기준을 정해 기록할 것”이라며 “아무래도 교사의 지도에 잘 따르거나 국가기관 등에서 주관하는 행사에 참가한 경력 등 객관적 자료가 있는 학생에게 적극적으로 추천서를 작성해 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학교에서 수준별 방과후 수업을 적극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라며 “사교육을 받지 않고도 학교 수업만 충실히 들으면 우수한 내신성적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이지은 기자 ichthys@joongang.co.kr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