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한파 얼어붙은 서민가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불황 한파로 서민가계가 꽁꽁 얼어붙고 있다.

전반적인 경제난 속에 기업 퇴출.대우차 부도 등이 겹쳐 실업 불안까지 확산하면서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

중산층의 소비가 눈에 띄게 위축되고 있으며 저소득층은 기본 생활에 위협을 느끼는 등 IMF사태 이후 최악의 상태다.

지난 10일 오후 8시쯤 서울 종로구 J갈비집. 한두달 전만 해도 이 시간이면 50여개의 자리가 꽉 찼으나 이날 손님이라곤 겨우 10여명. 주인 崔모(35.여)씨는 "최근 직장인 회식과 가족모임이 눈에 띄게 줄어 장사가 안된다" 고 말했다.

기업체의 접대장소인 고급음식점.유흥음식점까지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아 지난해 이맘때쯤보다 매상이 30% 이상 감소했다. 부산시 중구 중앙동 음식점 골목의 10여개 업소는 불황을 이기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

주부들의 씀씀이도 마찬가지다. 재래시장.백화점.할인점들도 매출이 20~30%씩 감소했다. 식료품만 그런대로 현상을 유지할 뿐 가전.귀금속.고급 의류 등은 안 팔린다.

부산 국제시장의 의류상 黃모(36)씨는 "하루 매상이 얼마인지 말하기조차 부끄럽다" 며 "월세를 감당하기 힘들 정도" 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대형업소에는 감원바람이 불고 있으며 문을 닫는 소형점포들도 늘고 있다.

최근 점원 30명을 줄인 대구 A할인점은 30명 추가 감원을 계획하고 있다. 서민가계의 불안감은 교통수단.보험.자녀 교육 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인천시 계양구 J미술학원의 경우 올 상반기 1백여명을 넘었던 미취학아동과 초등생 수강생이 한달새 50여명이나 줄었다. 승용차나 택시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주유소 매출도 10~20% 줄었다.

일부 저소득층은 가계에 위협을 받을 정도로 심각한 상태다. 전주시 평화동 주공아파트 2단지(15~17평형)에 사는 金모(45.여)씨는 며칠째 전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金씨가 다니던 속옷 생산업체가 지난 7월 부도가 나면서 실직, 석달째 관리비(한달 4만원)를 못내 관리소측이 단전조치를 취했기 때문이다.

1천3백여가구가 사는 이 단지에는 관리비를 체납해 전기가 끊긴 가정이 매달 30~40가구씩 생기고 있다.

세금을 못내는 가정도 속출해 올들어 6월말까지 지방세 체납액은 지난해 1년 동안의 체납액(9천7백33억원)과 맞먹는 9천4백81억원에 이른다.

경제전문가들은 이같은 현상이 오래갈 경우 '소비위축→경기하강→소비.투자 위축→경기침체 가속화' 의 악순환을 초래할지 모른다고 우려한다.

경제하강 국면에서 지나친 소비 억제가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민대 경제학과 김종민 교수는 "가계와 기업 등이 한꺼번에 소비 억제에 나서면 투자.생산활동이 위축돼 경제가 체력을 회복하는데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고 우려했다.

전국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