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초점…재정경제위] '밑빠진 독' 공적자금 질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23일 재정경제위 국감장에 진념(陳稔)재정경제부 장관이 나왔다. 초점은 공적자금(50조원)을 추가로 마련하는 문제에 맞춰졌다.

여야 의원 모두 "공적자금을 추가로 만들어 쏟아부으면 부실 은행과 대기업이 과연 살아날 수 있느냐" 고 陳장관에게 따졌다.

또 여야는 증인 채택에 실패했던 정몽헌(鄭夢憲) 현대아산 회장 등에 대한 참고인 선정 여부를 놓고 줄다리기를 벌였다.

특히 한나라당은 "공적자금 규모를 잘못 계산해 다시 추가로 조성한 데 대해 대통령은 관련자들을 문책하고, 혈세를 내 공적자금을 마련해야 하는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 (安澤秀의원)고 요구했다.

김만제(金滿堤)의원은 "워크아웃 기업 등 2백여개 부실기업을 퇴출시키는 등 근본적인 해결 노력 없이 무작정 이뤄지는 공적자금 투입은 '밑빠진 독에 물 붓기' " 라며 "우선 국영기업과 산업은행.외환은행.대한투신.한국투신.서울보증보험 등은 반드시 정리돼야 한다" 고 주장했다.

이한구(李漢久)의원은 "IMF 조기 졸업론.북한특수론 등으로 경제낙관론을 과잉 선전하면서 무대책으로 일관, 국민의 불안을 가중시킨 책임자들을 陳장관은 문책할 생각이 없느냐" 고 물었다.

민주당은 "추가 공적자금으로 기업금융구조 조정을 마무리하기에는 역부족 아니냐" (姜雲太의원)고 따졌다.

박병윤(朴炳潤)의원은 "2차 기업 구조조정과 내년도 성장률 하락으로 공적자금 수요는 더 늘어날 것" 이라면서 "추가 공적자금 규모에 대한 재검토가 있어야 한다" 고 지적했다.

장영신(張英信)의원도 "9월 말까지 자산관리공사를 포함한 금융기관으로부터 빌린 12조9천억원을 갚으면 실제 남는 추가 공적자금은 27조원에 불과한데 또 추가 조성해야 하는 것 아니냐" 고 추궁했다.

이어 정세균(丁世均.진안-무주-장수)의원은 "공적자금 집행을 투명화하기 위해 '공적자금위원회' 의 활동과 관련 자료를 정기적으로 국회에 보고할 것" 을 요구했다.

이수호 기자

사진=주기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