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연차총회 이모저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6면

국제통화기금(IMF)연차총회가 열리는 프라하에는 요즘 찬사와 항의, 그리고 설전이 한창이다.

체코의 성공적 시장경제체제 도입에 대한 찬사가 있는 반면 세계화를 주도하는 IMF를 겨냥한 항의시위도 거세다.

장내에서는 고유가와 유로화 폭락 등 굵직한 경제현안을 둘러싼 각국 대표들의 설전도 치열하다.

○…수천명의 시위대들이 24일 프라하에서 세계은행ㆍIMF가 세계의 빈곤을 경감하기는 커녕 가중시킨다고 강력히 비난하면서 가두 항의시위를 벌였다.

경찰은 지난해 세계은행ㆍIMF 총회와 세계무역기구(WTO)정상회담 중 벌어진 시위에 대한 경찰의 과잉진압이 언론의 비판을 받은 것을 의식한 듯 시위을 저지하지 않아 눈길을 끌었다.

한 시위대는 IMF와 세계은행의 최빈국 부채 탕감 거부에 항의, 두 국제 금융기구의 모의장례식 행진을 벌이기도 했다.

'경제의 세계화에 반대하는 이니셔티브(INPEG)' 란 체코 단체는 26일 총회장을 봉쇄하기 위해 2만명의 시민들에게 시위 동참을 촉구,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의 CNN방송은 24일 체코의 시장경제체제 도입이 성공적이라고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CNN은 지난해 유럽연합(EU)이 경제개혁을 촉구한 지 1년 만에 체코는 은행 대부분을 민영화하는 데 성공했으며 현재는 통신과 에너지산업까지 민영화한다는 계획을 확정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체코정부는 외국인 투자자에 세금혜택까지 주면서 투자를 유치하고 있으며 이같은 개혁조치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2.3%, 내년에는 3.2%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제임스 울펀슨 세계은행 총재도 "앞으로 세계은행은 체코의 경제개혁을 적극 도와 EU 가입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 고 말했다.

○…로런스 서머스 미국 재무장관은 24일 "일본의 경제회복은 아직은 불안한 단계에 있으며, 유럽은 투자장벽을 낮추고 신기술의 사용을 장려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서머스 장관은 IMF 통화금융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유럽의 경제 성장률이 높아지고 실업률이 떨어진 점은 인정하지만 유럽은 투자장벽을 없애기 위해 대대적인 개혁에 나서야 한다" 고 말했다.

그는 또 "일본은 부실채권 처분.투명성 제고.규제완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하며, 러시아는 계획은 좋지만 실제 이행 여부가 관건" 이라고 지적했다.

[프라하〓외신종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