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교육세…연간 1조6천억 더 부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교육세 존속과 세율 인상 등의 내용이 담긴 재정경제부의 세법 개정안이 발표됨에 따라 교육과 관련한 국민의 세(稅)부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개정안이 확정되면 국민은 교육분야 투자를 위해 매년 1조6천억원의 세금을 더 내야 한다. 담뱃값이 오르는가 하면 경마 배당금도 줄어든다. LPG차에 가스를 충전할 때도 부지불식간에 교육세를 내게 된다.

특히 이번 세제 개편안에서는 시.도가 조례를 정해 지방교육세(현행 지방세분 교육세를 지방교육세로 개편)세율을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했다.

따라서 교육에 대한 투자를 늘리려는 시.도의 경우 담뱃값이 더 오를 수 있다. 담뱃값도 시.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담배소비세에 40%가 붙는 교육세를 50%로 올리는 데서 그치는 게 아니라 최고 75%까지 인상(50% 범위 내에서 탄력세율 적용)할 수 있는 근거가 이번 개정안에서 마련됐기 때문이다.

교육부 지방교육재정과 백종면 과장은 "시.도 단체장이 주민의 의견을 물어 지방세에서 탄력세율을 적용하려는 것은 중앙 정부만이 아닌 지방도 분담토록 하려는 취지" 라고 말했다.

◇ 세 부담=내년부터 담배소비세분 교육세의 세율 인상(40%→50%)으로 3천8백억원 정도를 더 부담하게 될 전망이다. 또 경주.마권세분 교육세(50%→60%)로는 5백억원 가량이 경마 애호인들로부터 걷힌다.

수송용 LPG의 세율이 내년부터 1백43%로 올라가면서 특별소비세에 붙는 교육세가 생겨난다. 에너지 관련 세가 개편되면서 세율 인상과 동시에 교육세가 뒤따라 붙는 셈이다.

교육비 특별회계의 30.7%(올해 기준 5조9천7백여억원)나 차지하는 교육세 말고도 국민은 내국세(소득세.법인세 등 직접세와 일반소비세 등 간접세)를 내면서 내국세의 13%를 교육교부금으로 부담하고 있다.

◇ 문제는 없나=교육부 관계자들은 "부실한 공교육을 살리려면 국민의 세 부담을 통한 안정적인 교육재원 확보가 시급하다" 고 설명한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취임 당시 GNP 대비 6%의 교육예산 확보를 약속했으나 1997년 4.47%에서 올해 4.2%로 오히려 떨어지고 있는 실정을 강조한다.

하지만 이번에 세율 인상이 추진되는 교육세 세목은 모두 간접세에 해당한다.

담세자와 납세자가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소득 수준이 높은 사람이 교육에 대한 부담을 더 해야한다는 논리에 따른다면 부와 상관없이 똑같이 부담하는 간접세를 인상해 교육투자를 늘리겠다는 의도는 조세형평에 맞지 않는다.

또 국민의 주머니에서 82년 이후 36조원을 교육세로 걷었는데 그동안 교육환경이 나아진 것이 과연 있느냐는 지적이다. 교육세가 교원 인건비에도 쓰이는데 이는 교육세 본래의 목적과도 거리가 멀다는 지적도 있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