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4·3사건' 자료찾기 나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50여년전인 1948년 제주도에서 빚어졌던 한국현대사 최대의 비극인 '제주4.3사건' 의 진상조사를 위한 자료찾기가 제주도 차원에서 진행된다.

제주도는 30일 4.3사건 관련자료 확보를 위해 공무원 2명을 미국 현지에 6개월여동안 파견, 미국의 국립문서보관소 자료를 열람할 수 있도록 미국의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 협조를 요청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자치단체 차원의 미국현지 자료발굴조사 방침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현대사 연구가들 사이에는 미국의 국립문서보관소에 있는 미군정기 주한미군사령부 정보참모부의 G-2보고서와 미군방첩대(CIC)의 문서등이 당시의 진실파악의 중요한 열쇠로 여겨져 왔다.

우근민(禹瑾敏)제주도지사는 29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4.3사건등을 연구해온 국내.외 인사와 다양한 경로로 접촉을 시도, 당시의 진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겠다" 고 말했다.

도는 이와 함께 지난 6월부터 진행되고 있는 4.3피해자 신고가 보증인 3명을 내세우도록 하는 등 절차가 까다롭다는 지적과 관련, "시행령 개정을 통해서 신고 작업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 고 덧붙였다.

지난 28일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발족한 '제주4.3사건 진상조사 및 명예회복위원회' 는 조속한 시일내에 조사기획단을 구성, 2년간의 활동을 거쳐 조사보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한편 제주도의 4.3사건 피해신고 접수결과는 지난 24일 현재 3천5백89명이 피해를 신고해 확인된 희생자는 4천9백1명, 유족은 1만2천1백70명이었다.

제주=양성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