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고교생 보충수업 전면 허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교육부가 1998년부터 금지해온 고교생들의 보충수업이 전북지역에서 전면 허용된다.

문용주(文庸柱)전북교육감은 18일 "전국 대부분의 대학들이 2002학년도 대입계획을 발표하면서 수능성적 반영 비율을 높이기로 한 만큼 수능 대비 차원에서 보충학습을 전면 허용할 방침" 이라고 밝혔다.

文교육감은 "특기.적성에 의해 대학에 입학한 뒤 학력이 뒤떨어져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 이라며 "기본적인 학력이 있어야 창의력 발휘도 가능해 보충학습은 절대 필요한 상황" 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전북지역의 일선 고교에서는 이르면 올 2학기부터 보충수업이 이뤄질 전망이다.

보충수업은 98년 10월 고교교육 정상화 차원에서 3학년을 제외한 1, 2학년의 경우 전면 금지해왔었다.

하지만 일부 고교에서는 학교장 재량으로 음성적인 보충수업이 이뤄졌으며, 시.도교육청도 이를 묵인해왔다.

전북지역에서 허용되는 보충수업은 학과성적을 올리기 위한 획일적인 것이 아닌 기본학력 향상과 특기.적성교육에 중점이 두어질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조치에 대해 학부모.교사.전교조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지난 13일 보충수업 허용 탄원서를 전북교육청에 제출했던 기전여고 등 전주 시내 13개 고교 학부모협의회는 "과외는 허용하고 보충수업을 금지하는 것은 공교육을 무너뜨리고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을 가중시키는 조치" 라며 "이같은 문제점을 해소한다는 측면에서 교육청의 조치를 환영한다" 고 밝혔다.

일선 교사들도 "과외가 활성화하면 빈부.도농(都農)간 학생들의 학력차가 크게 벌어질 수밖에 없어 보충수업은 반드시 허용돼야 한다" 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북지부는 "보충수업을 허용할 경우 학생들을 입시 지옥으로 다시 몰아 넣게 되는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 며 반대입장을 나타냈다.

전주〓서형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