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자민련 안아도 상임위 과반안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민주당 서영훈(徐英勳) 대표는 19일 오후 의원총회 인사말에서 "우리의 주장과 입장은 확고히 지키되 언행은 신중하고 품위있게 해달라" 고 소속 의원들에게 신신당부했다.

그래도 미진했다고 느꼈는지 "언행이 TV에 비칠 때 한심하다는 소리는 듣지 말아야 한다" 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이날 한나라당이 들어오지 않더라도 국회를 단독으로 끌고간다는 방침을 거듭 확인했다. 그러나 당 지도부의 자세는 이처럼 조심스럽다.

이런 기류는 원내사령탑인 정균환(鄭均桓)총무의 발언에서도 배어나왔다. 鄭총무는 지도위원회의에서 추경예산안.정부조직법 개정안.약사법 개정안 등 7개 법안을 이번 임시국회에서 시급히 처리해야 할 안건으로 선정했다고 밝힌 뒤 "다만 대야 협상채널은 열어두겠다" 고 말했다.

민주당은 한나라당을 압박하기 위해 자민련이 요구해온 교섭단체 구성요건를 완화하는 국회법 개정안을 '시급한 법안' 에 집어넣었다.

'비(非)한나라당 연대' 전략이다. 그러나 겉으로 내세우는 강경기류와 달리 민주당은 내심 속앓이를 하고 있다.

속앓이의 정체는 여론의 따가운 시선이다. 핵심 당직자는 "민생법안 처리가 시급하다는 논리를 내세웠지만 16대 첫 임시국회를 단독 운영할 경우 쏟아질 여론의 비판이 걱정스럽다" 고 토로했다.

한나라당의 국정조사 요구(총선 부정선거문제)를 명분없는 행위로 밀어붙인다고 해도 정국 파행에 대한 여권의 책임론은 그대로 남게 되기 때문이다.

현실적인 한계도 있다. 16개 상임위 중 운영.재경.법사.산자.건교위와 예결특위를 뺀 나머지 상임위는 민주당+자민련+무소속 의원을 합치더라도 과반수에 모자란다.

이만섭(李萬燮)국회의장이 단독국회 본회의 사회를 꺼리는 점도 변수다. 민주당 일각에서 "한나라당에 퇴로를 열어줘야 한다" 는 주장은 그래서 나온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