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상봉 확대 시급…158명 혈육 확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8.15 남북 이산가족 방문단 선정을 위한 생사확인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북한이 후보자 2백명의 명단을 통보해온 지 하루 만인 17일 오후 현재 이미 1백58명(대한적십자사 공식집계)의 생사·주소가 확인됐다.

이를 계기로 이산가족들의 갈증을 풀어줄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당국간 회담과 적십자 협의채널을 통해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남북한 각 1백명의 이산가족 방문단 시범교환으로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 이산가족 문제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한적)의 부족한 행정력을 보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열기 고조〓휴일인 17일에도 통일부와 한적 본사에는 북한측 명단을 확인하려는 문의전화와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한적 관계자는 "이런 추세라면 18일 중에 대부분의 생사·주소확인이 가능할 것" 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정부 중앙청사 통일부 이산가족상담실을 찾은 고령 이산가족 중 일부는 자기 가족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내 아들·딸이 북에 있는데 이게 말이 되느냐" 며 거세게 항의해 직원들이 곤욕을 치렀다.

◇ 상봉 정례화〓남북한은 지난달 30일 적십자 회담에서 9월 초 비전향장기수 북송(北送) 즉시 이산가족면회소 설치를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면회소 설치까지는 적지 않은 논의과정이 필요하다는 게 정부 당국자들의 설명이다.

1백명을 뽑는 이번 방문단 교환에는 무려 7만6천명의 이산가족이 상봉을 신청했다. 또 생사를 확인한 2백명중 절반만이 가족과 상봉할 수 있다.

이경남(李敬南)이산가족상봉추진회 회장은 "7백60대1의 경쟁 속에 상봉하지만 한명의 기쁨 뒤편에는 7백59명의 아픔이 계속된다는 점을 정부가 인식해야 한다" 며 이산가족 상봉이 일회성의 이벤트로 끝나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 북한전문가는 "북측 명단의 구체성으로 미뤄 북한도 사회안전성(경찰)주소안내소에 체계적인 이산가족 자료를 보관 중인 것으로 보인다" 며 상봉 정례화나 규모 확대를 위한 협의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주문했다.

또 북한측의 명단통보를 계기로 그동안 편향적인 시각으로 월북자를 냉대해온 우리 사회의 분위기도 진취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 문제점과 정부대책〓이산가족 선정과정에서 지나치게 기대감을 고조시켜 탈락자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여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또 정부는 이산가족 명단교환에 따른 폭발적인 국민적 관심을 미처 예상치 못해 후속 행정처리를 놓고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였다.

◇ 문의〓통일부와 한적은 이산가족들의 문의가 폭증하자 상담전화를 늘렸다. 대한적십자사 02-3705-3705(대표), 3705-3656~3659 또는 통일부 이산가족상담실 720-2430, 732-5437, 3703-2386.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