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서 결판 난다 … 한명숙 전 총리 ‘5만 달러 진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검찰이 곽영욱 전 대한통운 사장으로부터 인사청탁 대가로 5만 달러를 받은 혐의로 한명숙 전 총리를 이번 주 중 불구속 기소할 방침이다. 사진은 한 전 총리가 18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서 조사를 받은 뒤 지지자들에게 둘러싸여 청사를 나서는 모습. [연합뉴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곽영욱(69·구속기소) 전 대한통운 사장으로부터 인사 청탁 대가로 5만 달러를 수수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를 받고 있는 한명숙(65) 전 국무총리를 이번 주 중 불구속기소할 방침인 것으로 20일 알려졌다. 한 전 총리 측도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과 문재인 전 청와대 비서실장, 민주당 이종걸·송영길 의원 등으로 매머드급 변호인단을 구성하기로 하고 재판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양측의 진실 공방이 법정에서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이날 수사팀 대부분이 출근한 가운데 지난 18일 한 전 총리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보강 조사에 들어갔다. 특히 3시간 동안 진행했던 한 전 총리와 곽 전 사장의 대질신문 내용을 집중 분석했다. 수사팀 관계자는 “한 전 총리가 조사 내내 묵비권을 행사했지만 곽 전 사장과의 대질이 의미가 없었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검찰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2006년 12월 20일 총리 공관에서 한 전 총리에게 5만 달러를 전달하기 앞서 한 전 총리, 지인들과 오찬을 가졌다”는 곽 전 사장의 진술 부분이다. 검찰은 한 전 총리가 오찬에서 참석자들에게 대한석탄공사 사장에 곽 전 사장을 추천하고 도와달라는 취지의 말을 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당시 오찬에 참석했던 동석자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인사 청탁’ 정황을 재판에서 제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주변에선 오찬 참석자 중에 곽 전 사장과 친분이 있던 전북 출신의 정치인 등이 있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야권의 ‘한명숙 전 총리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18일 조사를 통해 이번 사건이 한 사람의 허위 진술을 갖고 억지로 짜맞춰 보려는 조작수사임이 다시금 확인됐다”고 맞서고 있다. 공대위 측은 “곽 전 사장의 진술대로 총리 공관에서 돈을 주고받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밀착 경호를 받는 총리 공관에서 남이 보지 못하게 돈 주고 받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며, 여성 의류에는 주머니가 없거나 있어도 얇아서 두툼한 돈 봉투를 넣을 수 없다”는 것이다.


공대위 측은 또 영장에 적시된 인사 청탁 내용이 당초 알려진 ‘남동발전 사장’이 아니라 ‘석탄공사 사장’인 것과 관련해 “검찰이 총리 공관 방문 시기에 맞춰 석탄공사 사장 인사청탁으로 짜맞추기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검찰은 “곽 전 사장이 한 전 총리에게 ‘공기업에 가게 도와달라’는 내용의 부탁을 여러 차례 했다. 석탄공사나 남동발전은 모두 공기업이어서 이 과정은 다 연결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검찰은 또 스테이트월셔CC 회장 공모(43·구속기소)씨 등으로부터 4억원가량의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는 한나라당 공성진(56) 의원을 이번 주 초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수사팀은 공 의원에 대한 계좌추적과 관련자 조사 등을 마친 뒤 처벌 수위를 검토하고 있다. 검찰은 불법 정치자금 액수가 거액인 점을 감안해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할지, 아니면 국회가 열려 있는 것을 고려해 불구속 기소할지를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공 의원은 “현재 제기되는 의혹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주장하고 있다. 골프장 회장 공씨로부터 1억원을 받은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은 한나라당 현경병(47) 의원의 경우 이르면 이번 주 중 기소될 예정이다.

박유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