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이전·친일규명법 문제가 국론 분열시키고 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이회창(얼굴) 한나라당 전 총재가 21일 서울 옥인동 자택에서 박근혜 대표의 방문을 받았다. 박 대표와 이 전총재의 만남은 2002년 대선 후 처음이다. 이 전 총재는 의례적인 인사만 한 게 아니라 최근 정치 현안에 대해 강력한 목소리를 냈다.

그는 "정치를 떠난 사람으로서"라고 전제하면서 "친일 문제, 천도 문제 등이 국론을 굉장히 분열시키고 있다. 친일 역사를 바로잡는 것은 옳지만 현재 그런 방향보다 1948년 건국의 정통성과 이후 국가발전의 가치를 부정하려는 의도 하에 추진되는 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든다"고 말했다.

이 전 총재는 이어 "수도 이전 문제도 별개가 아니라 과거 역사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판갈이하는 그림 하에 진행되는 것이 아닌가 걱정스럽다"면서 "한나라당이 좀더 분명하고 결단력 있게 대처해 국민을 안심시켜 줬으면 좋겠다"고 주문했다.

국가 보안법 개폐와 관련해서도 이 전 총재는 "보안법을 폐지하자는 주장은 (남북)대치 상황에서 우리의 방어수단을 없애자는 것"이라며 "보안법은 아직 폐지할 때가 아니라고 본다"고 했다. 그는 "과거 보안법 남용으로 인권을 유린한 사례가 있지만 보안법 자체는 기본적 체제와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법으로서 중요한 것은 법 해석"이라고 강조했다.

이 전 총재는 '모든 것을 걸고 보안법 폐지를 막겠다'고 한 박 대표의 발언을 인용한 뒤 "박 대표 개인이 책임질 문제를 넘어서 한나라당 의원 121명 전원이 의원직을 사퇴하는 결연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22일 서청원 전 대표, 23일 최병렬 전 대표를 차례로 방문한다.

이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