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문화 뿌리' 굿판 쫙 펼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아시아 어딘가에선 지금도 굿판이 열립니다."

프리랜서 사진작가 김수남(55)씨의 말이다. 일간지 사진기자 출신인 그는 30년 넘게 굿판을 기웃거렸다. 1988년부터는 아예 해외로 나가 무당 사진을 찍었다. 아시아 굿판을 찍어 온 지난 17년의 세월 중 꼬빡 9년을 외국에서 보냈다. "굿에는 '신화(神話)'가 담겨 있어요. 굿 자체가 신에게 음악과 춤을 바치는 의식이니까요."


샤머니즘은 아시아 각국의 예술과 문화를 이해하는 창구다. 왼쪽부터 인도의 '테얌', 일본 나가노현의 '하나마쓰리(花祭)', 화려한 복장의 인디언 샤먼. [사진작가 김수남씨 제공]

목숨을 잃을 뻔한 적도 여러 번이었다. 미얀마 정글로 들어갈 땐 태국을 거쳐 비밀리에 입국했다. 게릴라 부대와 함께 생활하기도 했다. 또 인도네시아에선 말라리아에 걸렸고, 중국에선 천안문 사태 직후 간첩으로 몰려 재판까지 받았다. 당시만 해도 중국 정부는 굿을 '사회주의의 적'이라며 강력히 금지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윈난(雲南)성 등 산악지대에선 소수 민족이 굿을 이어오고 있었죠."

샤머니즘에 빠져든 이유가 있었다. "수천년, 아니 수만년간 내려온 인간의 예술과 문화, 그 기초 토양이 바로 샤머니즘이에요." 굿을 보면 아시아 각국의 문화적 동질성을 한눈에 알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과 중국은 굿의 구성이나 무당의 모습이 굉장히 비슷해요. 일본은 약간 다르죠." 메이지(明治) 유신 때 '종교 개혁'차원에서 정부가 무당을 잡아들였기 때문이다.

일본은 사라진 무당 대신 지역 주민들이 그 역할을 도맡고 있다. "샤머니즘은 이처럼 아시아 문화를 이해하는 초석입니다. 우린 초.중등 교육에서도 강대국 문화에만 관심을 가질 뿐 이웃 문화에는 너무 소홀하죠."

김씨가 아시아를 돌며 찾아낸 샤먼들을 국내에서도 만날 수 있다. 10월 7~10일 서울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열리는 '2004 아시아전통예술페스티벌'(한국문화예술진흥원 주최)의 주인공으로 입국하기 때문이다.

붉은 의상이 매혹적인 인도 케랄라 지역의 '테얌'과 일본적인 움직임이 돋보이는 '다카치오 가구라', 동양적 문화가 녹아 있는 인디언 샤먼의 전통의식 등 해외 8개 공연이 펼쳐진다. 또 '서해안 풍어제''남해안 별신굿''진도 씻김굿' 등 국내의 대표적인 굿들도 함께 무대에 오른다.

최종민 조직위원장은 "남산과 한옥이라는 배경이 아시아 각국의 굿판과 묘한 조화를 이룰 것"이라며 "아시아 문화를 더 깊고, 더 넓게 이해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www.ataf.or.kr, 02-744-0300.

백성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