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초당적 분위기 조성에 나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김대중(金大中.얼굴)대통령이 6월 평양 정상회담의 국민적 지지분위기를 다지고 있다.

그중의 하나가 민주당.한나라당.자민련 3당의 고위 당직자를 회담대표단에 포함하는 방안이다. 야당 당직자들이 金대통령의 공식수행원이 되는 것이다.

14일 여권 고위 관계자는 이같은 방안을 추진하고 있음을 공개하면서 "초당적 분위기 확산을 위한 것" 이라고 설명했다. 참여인사는 여권에선 정책위의장.부총재급을 생각하고 있다.

金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이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고 청와대 관계자는 강조했다.

과거 정부의 대북한 협상 노하우와 경험을 참고하는 한편 "평양회담이 다음 정권으로 이어져 평화통일이란 성과로 이어지길 희망한다" 는 것이다.

"임기 중 통일의 욕심을 내지 않겠다" 는 金대통령의 발언도 이같은 의지의 연장선에서 나온 것이다.

金대통령은 김영삼(金泳三)전 대통령을 만나 1994년 정상회담 준비 경험을 들었다.

정상회담을 위한 남북밀사를 교환했던 전두환(全斗煥).노태우(盧泰愚)전 대통령과도 만났다.

지난주 북한측과 협상경험이 있는 전직 고위 관리와 북한전문가들을 청와대로 부른 데 이어 이번주엔 대북투자사업가들도 초청할 예정이다.

그리고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를 비롯해 여러 정당대표들을 만나 정상회담의 협력을 다짐했다.

3당 당직자들을 데리고 가려는 金대통령의 뜻은 이런 흐름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민주당 고위 관계자는 "金대통령은 평양 정상회담을 발판으로 정쟁(政爭)에서 초연해 정국을 초당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고 전했다.

한나라당은 여야 인사들의 정상회담 대표단 참여에 대해 일단 시큰둥하다. 하순봉(河舜鳳)총장은 "정상회담 모양새를 위한 것인데 우리가 들러리나 설 필요가 있느냐" 고 말했다.

야당에 통고도 없이 이 구상을 공개한 데 대한 불만이다. 여기에는 비료 20만톤의 북한 지원문제에 대한 불만이 깔려 있다.

한나라당측은 "지난달 金대통령과 이회창 총재의 여야 영수회담 때 대북 지원문제를 야당측과 사전에 충분히 논의키로 했던 약속을 위반했다" 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른 당직자는 "정상회담에 대한 범국민적 지지 분위기를 고려할 때 여권이 공식 제의할 경우 거절하기 어려운 문제" 라고 지적했다.

정당대표의 방북이 남북 국회회담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 여권 내에 있다.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을 만나도 "당장 구체적인 성과물을 얻어내기 어렵다" 고 金대통령은 말해왔다.

따라서 정상회담을 뒷받침하기 위해 여러 가지 후속회담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