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회담 실무회의] '타협의 정치' 골격 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24일 청와대에서 열릴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의 영수회담 골격이 갖춰졌다.

실무접촉에 나선 청와대 남궁진(南宮鎭)정무수석과 한나라당 맹형규(孟亨奎)총재비서실장은 23일 "회담에선 대화와 타협을 통한 여야관계의 정상화 및 정치복원 문제가 집중 논의될 것" 이라고 말했다.

1999년 3월 17일 이후 1년1개월만에 열리는 영수회담은 '여야는 동반자 관계며, 생산적 정치를 한다' 는 큰 원칙을 밝히는 자리가 될 것이란 얘기다.

이를 위해 金대통령은 한나라당이 국정운영의 파트너임을 언급하고, 향후 국정현안에 대해 수시로 李총재와 만나 협의할 것임을 밝힌다는 것이다.

李총재는 제1당으로서 한나라당의 책임을 강조하면서 정치.경제안정과 민생을 위해 초당적으로 협력할 것임을 다짐할 방침이다.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해서는 '회담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한반도의 전쟁위험을 줄여 평화를 정착시키는 계기를 만들자' 는 합의가 나올 것이라고 실무대표들은 밝혔다.

다만 李총재는 남북 정상회담에서 보안법 폐지.주한미군 철수 등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합의가 나와서는 안된다는 점을 짚어놓는다는 입장이다.

회담에서 다소 논란이 예상되는 대목은 관권.금권선거 문제와 인위적 정계개편 문제. 실무대표자들도 이 문제를 초안에 어떻게 담을지 신경전을 벌였다.

초안은 '부정선거는 엄정하게 다스린다' '총선 민의를 존중한다' 는 선에서 마무리됐지만 李총재는 할 말은 하겠다는 입장.

즉 "여당이 사상 유례없는 관권.금권선거를 자행했다" 며 金대통령에게 재발방지를 요구할 예정이고 "선거사범 수사를 이용해 야당의원을 빼내가는 등 인위적인 정계개편 시도가 있어서는 안된다" 는 입장도 밝힐 방침. 金대통령은 주로 李총재의 얘기를 듣고 초안의 수준에서 답변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껄끄러운 의제에도 불구하고 회담은 비교적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이뤄질 것이라는 게 양측의 공통된 전망. 南宮수석과 孟실장은 "이번 회담은 지난 두번의 영수회담과는 다를 것" 이라고 장담했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