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슈아 박의 교과서를 덮어라] 1. 미국 유학 환상 깨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10면

"미 하버드대 법학 박사 출신이 왜 한국 고등학교에서 일하시죠?" 한국에 온 뒤 가장 많이 들은 질문이다. 이른바 '미 명문대 학벌'과 교사란 직업이 어울리지 않는다는 통념에서 비롯된 질문일 것 같다.

사실 한국에 오기 전에는 '학벌'이라는 말뜻을 잘 몰랐다. 사람들이 'SKY'라는 말을 자주 쓰기에 "도대체 '하늘'이 어쨌다는 거지"라고 헤매다가 '서울대.고려대.연세대'의 축약어라는 걸 알고 혼자 웃은 적이 있을 정도였다.

일류대 출신이란 것이 엄청난 위력을 가지다 보니 유학 붐이 예사롭지 않다. 몇몇 특목고에선 미국 대학으로 직행하는 학생 수가 자랑이 되고 서울 강남에선 유학을 떠나는 학생이 많아 입시학원들이 어려움을 겪을 정도라는 이야기도 들린다. 'HYP'라는 신조어도 들어봤다. 미국 아이비 리그의 명문대인 '하버드.예일.프린스턴대'의 축약어라는데 미국 사람도 전혀 들어보지 못한 말이 태평양 건너 한국의 학벌 열성 팬들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게 신기하기도 하고 씁쓸하기도 했다.

그러나 서울의 유학 붐에 대해선 할 말이 많다. 미국 교육 실정을 너무 모르고,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생각하지 않은 '묻지마 유학'파가 많아 보인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런 유학생들, 특히 한국 교육 현실에서 도피하기 위한 조기 유학생들은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고교 졸업도 녹록지 않은 게 미국이기 때문이다.

뉴욕주를 비롯한 19개 주에서 실시되는 리젠트 시험(Regent exam)이란 고교 졸업시험이 있다. 영어.수학 등 6개 과목에서 100점 만점에 55점 이상이면 합격이지만 미국에서 자란 학생들도 겨우 57.8%(뉴욕주 2003년 보고)만이 통과할 정도로 엄격하다. 주마다 다르지만 최근의 통계를 보면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경우 고교 졸업률이 48%에 불과하며, 가장 높은 뉴저지도 88.3% 정도다. 미 전체 평균 졸업률은 67.3%. 고교생 10명 중 3명 넘게 졸업을 못하는 셈이다.

고교 졸업이 이토록 어려우니 영어실력이 부족한 한국 유학생들의 고생은 더 말할 것도 없다. 뉴욕주 브루클린 어느 고교의 한국 유학생 J군은 리젠트 테스트에서 떨어졌지만 부모를 실망시키기 싫어 가운과 가짜 졸업장까지 동원해 졸업식(?)을 치렀다는 웃지 못할 실화도 들었다.

유학생이 많은 캘리포니아는 어떨까? 고교 졸업률은 68.7%를 나타냈지만, 2006년 졸업생부터는 동부의 리젠트 시험을 본떠 캘리포니아주고교 졸업시험제도(CAHSEE)가 실시된다. 영어실력이 모자란 한국 등 외국 학생들에게는 여섯번 응시할 기회를 주지만 가산점이나 특혜를 주는 일은 없어 통과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이미 올해부터 수학 과목(대수학 I) 시험 하나만 통과하지 못해도 아예 졸업할 수 없도록 입법화했다.

결국 아예 고교를 중퇴하고 끼리끼리 몰려다니며 '어둠의 자식'처럼 치부되는 10대도 많다. 캘리포니아 교육국의 4월 발표에 따르면 지난 한 해 한국 유학생이 많은 로스앤젤레스 통합교육구(LAUSD)에서 총 1만6000명이 고교를 중퇴해 전년도 대비 50% 이상 치솟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부모 없이 혼자 유학 온 학생 중 언어 장벽으로 인해 학업 부진이 계속되면 자포자기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숙제를 안 하면 점수를 못 받고 몇 과목 낙제하면 걷잡을 수 없이 자신감을 잃게 되죠." 뉴저지주의 한 고교에서 일하는 K교사는 학업 부진이 탈선의 시발점이 된다고 강조한다.

고교 졸업을 위해 별문제 없는 한국 고교로 몰래 전학하는 '역(逆)유학'사례도 나타난다. 실례로 이 같은 미 고교 졸업시험 탈락자들이 한국에 와 고교 졸업장도 받고 유명 랩그룹 멤버로 활동하는 경우도 있었다.

문제는 미국 교육 적응에 실패한 일부 유학생이 이런 어려운 지경에 직면해도 이역만리 학부모들은 어련히 잘하려니 자식만 믿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에 가서 만국 공통어란 영어도 익히고 명문대를 나와 '금의환향'하기를 고대하지만 글쎄…. 막연한 꿈과 냉엄한 현실의 차이는 태평양보다 넓을지 모른다.

(Blog.empas.com/wopark)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