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총재, "국정운영 협력…필요시 견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는 18일 "이번 총선에서 국민이 선택해준 힘의 바탕 위에서 대화와 타협, 상생(相生)의 정치를 할 생각" 이라고 말했다.

李총재는 국회 총재실에서 가진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다짐하면서 "그렇지만 김대중 대통령과 여당의 국정운영에 협력하는 동시에 필요할 때는 견제와 비판기능도 다할 것" 이라고 밝혔다.

李총재는 金대통령과의 영수회담에 대해 "정국을 풀기 위해 여야 영수가 만나는 건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 이라면서 "(우리당이)영수회담을 조건부로 승낙한 것처럼 보는 건 맞지 않는다" 고 강조했다.

특히 "정치를 진실되게 풀어가는 의견교환의 자리가 된다면 자주 할수록 좋다" 고 말해 영수회담의 정례화에도 긍정적 입장을 밝혔다.

개헌문제에 대해 李총재는 "대통령제냐 내각제냐, 가부(可否)간 개헌의 시기가 온다면 대통령 중임제(4년)개헌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본다" 고 말했다.

李총재의 발언은 '현행 대통령 5년단임제에 문제점 있다' 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지만 대통령 중임제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주목된다.

李총재는 "대통령과 집권당은 현 여소야대 상황을 수용하고 국회기능을 존중하는 발상의 전환이 중요하다" 며 "역대 정권들처럼 여소야대 구도를 깨려고 할 게 아니라 여소야대 구도를 국민의 선택으로 보고 국회를 존중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해 그는 "남북 정상회담에서 양보.타협할 수 없는 우리 정부의 원칙을 분명히 해야 한다" 며 ▶국민의 안전과 대한민국의 정체성 양보는 있을 수 없다▶상호주의 원칙 준수▶경제지원과 대규모 협력은 국회동의를 거쳐야 한다는 등 세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또 "우리당이 견지한 입장과 노선에 동조하면서 이 정권의 장기집권 구상 등에 반대하는 세력과는 얼마든지 공조하고 연대하는 관계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며 야권 대통합 의사도 밝혔다.

총선시민연대의 낙선운동과 관련해 그는 "시민단체들이 낙선운동을 하면서 법을 무시하는 사례가 많았다" 고 지적했다.

최상연.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