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미디어와 잘 사귀기-컴퓨터 (4)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내가 알고 있는 최대의 비극은 수많은 젊은이들이 자기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단지 급료에 얽매여 일하는 사람처럼 불쌍한 인간은 없다. " <카네기>

"재능은 누구나 가지고 있지만, 재능을 살리기 위해 어려운 과정을 밟을 용기를 지닌 사람은 드물다. " <에리카 종>

나의 꿈과 능력을 마음껏 살릴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어떻게 하면 그런 일을 하며 보람과 기쁨을 누릴 수 있을까. 정보의 바다, 인터넷에서 내 앞날을 밝혀줄 등대를 찾자.

1.사진 속의 직업

①신문에서 각자 가장 마음에 드는 사진을 골라 흰종이에 붙인다.

②사진을 통해 알 수 있는 직업들을 사진 주위에다 생각나는 대로 다 쓴다.

③자신이 찾은 직업들 가운데 가장 마음에 드는 직업에 대한 자료를 찾아 마인드맵으로 표시한다.

예컨대 ▶그런 직업을 갖기 위해 필요한 교육이나 자격증 ▶근무조건 ▶수입 ▶전망 등 가급적 상세한 자료를 찾는다. (이때 자료는 신문이나 인터넷 검색기능을 적극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

※교사.학부모께 : 고학년이라면 ②단계 활동에 이어 각기 다른 사진을 선택한 학생끼리 두 명씩 짝을 지어 그 사진의 상황을 연결짓기 위해 필요한 직업들을 찾아보도록 확대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한결 다양한 직업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으니까요.

2.사이버 인터뷰

①신문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인물, 특히 그의 직업에 관심이 쏠리는 대상을 고른다.

②그 인물의 직업 세계나 활동에 대해 속시원히 알아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인터뷰. 그 인물과 직접 만나기 어렵다면 e - 메일 주소를 확인해서 궁금한 점들을 묻는다. 그 인물에게 e - 메일로 답장을 받기 어렵다면 같은 직업을 가진 다른 인물을 찾아본다.

③그 직업을 가진 사람의▶이름과 직위 ▶구체적 업무 ▶직업 선택 동기▶그 직업에 필요한 교육 정도와 내용▶적합한 소질과 적성▶신체적 조건▶자격증이나 면허증▶작업 환경과 분위기▶그 직업의 발전성 및 전망▶그런 직업을 선택하려는 학생들에게 특별히 당부한 말▶그 직업의 좋은 점과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그 직업을 갖기 위해 앞으로 더욱 노력해야할 점▶그 직업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자료나 인터넷 주소 등을 정리해 인터뷰 기사로 정리한다.

※교사.학부모께:신문기사 내용이나 관련사실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고 싶을 때는 그 기사를 쓴 기자의 e메일 주소(중앙일보를 포함한 대부분의신문에는 기자의 이름과 함께 e메일 주소를 표기합니다)로 물어볼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세요. 또 가능하다면 인터뷰한 사람의 사진도 인터넷 신문에서 내려받거나 e메일의 첨부파일로 받아 활용토록 한다면 더욱 실감나는 사이버인터뷰 기사를 쓸 수 있겠지요.

3.직업정보 사냥대회

①3~5명씩 모둠을 정한다.

②모둠별로 신문에서 앞으로 매우 유망한 직업을 고른다.

③신문이나 인터넷을 활용해서 모둠별로 각각 선택한 직업에 대한 정보를 모은다.

④모은 정보를 어떻게 정리하면 그 직업의 현재 상황과 미래 전망을 한눈에 이해하기 쉬울까? ▶보고서 형식▶큼직한 종이에 쓰거나 그리고 붙인 신문형식▶컴퓨터를 이용한 웹신문 형식 등 모둠별로 정리한다.

⑤가장 전망이 밝은 직업은 과연 무엇일까□ 모둠별로 정리한 내용을 비교하며 순위를 매긴다.

※교사.학부모께 : 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이기 위한 활동입니다.

남서울대 학생들이 김지환교수와 함께 해본 수업을 참고하면서 학생들의 이해 수준에 맞게 조절하면 수행 평가를 겸한 열린 수업이 되겠지요. 이때 사정이 허락할 경우 가급적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정보를 정리토록 하면 컴퓨터를 더욱 익숙하게 사용하는 능력도 함께 길러줄 수 있을 것입니다.

4.일, 일, 일…

이 세상에는 얼마나 많은 직업이 있을까?

①신문에서 각자 원하는 지면이나 섹션을 정한 다음 어떤 직업이 들어있는지 찾는다.

②그 직업들을 한국 표준 직업 분류에 따라 나눈다면 각각 어디에 속할까? 노동부 홈페이지(http://www.molab.go.kr)나 통계청 홈페이지(http://www.nso.go.kr)를 찾아가 확인한다. 그 직업과 관련된 자격이나 면허에 대해서도 확인하면 금상첨화.

③가장 많은 직업을 찾아 표준 직업 분류대로 정리한 친구가 승리. 친구들이 찾아낸 직업들을 모두 모으면 훌륭한 직업사전이 된다.

※교사.학부모께 : 신문.책.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에서 일과 관련된 속담.격언.고사성어 등을 찾아 곁들이도록 하면 더욱 재미있겠지요.

김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