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₂감축, 선진국이 솔선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인구 13억 명의 세계 최대 개발도상국인 중국은 경제성장을 하면서 환경을 보호해야 하는 이중의 도전에 직면했다. 중국 정부는 현 단계에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감축 약속을 제시했고 반드시 실천할 것이다.”

중국 외교부에서 기후변화담판 특별 대표를 맡고 있는 위칭타이(于慶泰·53·사진) 대사는 다음 달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회의를 앞두고 중국 정부가 2020년까지 ‘단위 국내총생산(GDP)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5년의 40~45% 감축하기로 한 데 대해 이같이 말했다.

위 대사는 27일 본지와 CNN·AFP 등 일부 외국 언론을 초청, 중국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밝힌 배경과 입장 등을 설명했다. 1976년부터 33년째 외교관으로 일해온 그는 2007년부터 중국 외교부의 기후변화담판 특별대표를 맡아 지구온난화 대책을 모색해온 대표적인 관련 전문가다. 중국 언론들은 그를 ‘중국 정부의 기후변화 문제 대변인’이라고 묘사한다. 위 대사는 ‘한 말은 반드시 지키고 행동은 결과가 있어야 한다(言必信 行必果)’는 논어(論語) 구절을 인용하며 중국 정부가 이산화탄소 감축 계획을 성실히 이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 같은 계획과 관련, “중국은 개도국으로서 1인당 GDP가 겨우 3000달러를 돌파했고 여전히 4000만 명의 빈곤층이 있어 지속 성장해야 하나 기후변화 문제에 적극 대처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도 확고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05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이미 단위 GDP 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3% 줄였고 2010년 말까지는 20%를 줄일 계획”이라며 “선진국에 비해 중국의 감축 노력은 손색이 없다”고 주장했다.

-중국의 온실가스 절대 방출량은 앞으로도 증가하게 될 텐데 언제쯤 최고치에 달할까.

“선진국 경험에 따르면 공업화 단계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이 급증하지만 후기 산업시대로 들어가면서 완만해지거나 감소한다. 중국의 온실가스가 언제쯤 최고치에 도달할지는 연구 중이다.”

-어떤 감축 노력을 하게 되나. 

“재생가능에너지 비율을 10%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수력과 태양에너지 발전을 늘리고 조림사업을 대대적으로 전개할 것이다. 탄소세를 부과해 온실가스 배출자에게 부담을 주는 방안도 가능하다. 또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전기자동차나 가전제품을 사는 소비자에게 보조금 등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도입할 예정이다.”

-감축 목표를 정하는 과정에서 경제성장을 강조하는 지방정부와 기업들의 반발은 없었나.

“ 결국은 합의에 도달했다. 에너지 효율이 낮은 발전소 등을 폐쇄할 경우 실업 대책 등에 정부가 주목해야 할 것이다.”

-온실가스 감축이 중국의 경제성장을 늦출 수 있을 텐데.

“이번 목표치는 적절한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범위에서 설정됐다. ”

-중국의 약속을 국제적으로 검증할 방안은.

“중국의 감축 공약은 자발적인 것이다. 선진국이 자금이나 기술을 제공한 게 아니면 국제사회의 검증을 받을 이유는 없다.”

 -기후변화 에 대한 중국 정부의 기본 입장은.

“국제사회가 이미 제시한 ‘함께 노력하되 (선진국과 개도국이) 서로 다른 수준의 책임을 진다’는 원칙을 견지해야 한다. 기후 변화 대책이 개도국의 경제발전을 희생양으로 삼아서는 안 되고 경제발전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 선진국이 솔선해서 감축 노력을 하고 개도국에 자금과 기술을 적극 이전해야 한다.”

베이징=장세정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