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에 연구소·특목고 유치 원안에 이미 다 나와있는 내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정부가 23일 세종시의 자족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국내외 연구소 22곳과 특수목적고 등을 유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키로 한 데 대해 이완구(사진) 충남지사는 “연구소나 학교 등을 유치하는 방안은 이미 행정도시특별법에 다 나와있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정부는 23일 정운찬 국무총리 주재로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 2차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기초기술연구회와 교육과학기술부 직할 출연연구기관중 세종시 입주수요를 제기한 국가핵융합연구소 제2캠퍼스, 연구개발인력교육원, 고등과학원 분원의 설립 및 이전도 검토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이지사는 “정운찬 총리가 ‘수정 세종시’의 도시 성격에 대해 무려 5번(기업도시 등)이나 바꿨다”며 “도시 성격에 대한 철학이나 방향도 설정하지 못하면서 무슨 대안 마련이냐”고 비난했다.

이지사는 “정부의 세종시 이름 붙이기가 그야말로 점입가경”이라며 “행정도시 특별법 내용을 단 10분이라도 읽어봤다면 이렇게 무책임하게 나오지는 않을 것이다. 민관합동위원회의 검토 내용도 믿을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어떤 정책이든 추진과정에서 정당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아무리 좋은 결론을 내놓아도 논쟁을 잠재울 수 없다”며 “이미 정부의 행정도시 수정과정은 절차상의 정당성을 잃어버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지사는 “정부가 왜 세종시 추진 같은 국가 대사를 추진하면서 충청권의 책임있는 당사자로부터 의견수렴과정을 거치지 않는지 답답하다”고 말했다. “정운찬 국무총리 등 정부 당국자가 단 한번도 나를 비롯한 충청권 광역단체장의 의견조차 들으려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지사는 “이미 정부가 행정도시 문제를 수습하기 어려운 국면으로 만들어 놓았다”고도 지적했다. 일을 너무 서투르게 진행하다보니 충청권은 물론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여론이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됐기 때문이라는 게 이지사의 생각이다.

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