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1 '자연다큐멘터리', 밤섬 1년간 탐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5면

서울에서 천연기념물 원앙이 사는 곳을 아십니까.

한강의 유일한 자연섬인 밤섬이 정답. 이곳에는 원앙을 비롯해 수많은 식물과 25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 서울의 생태낙원이라 할만하다.

KBS1 '자연다큐멘터리-밤섬' (3일 밤 10시)에서 이 섬의 신비를 벗긴다.

밤섬은 1968년 2월 여의도 개발을 명분으로 폭파된 뒤 인간의 간섭이 배제된 채 30여년을 지내왔다. 바위뿐인 폐허 위에 한강의 퇴적물이 쌓여 오늘의 형태를 갖추게 됐다.

제작진은 지난해 5월 이곳에 위장막을 설치하고 관찰에 들어갔다. 지금은 도시 풍경에 익숙한 듯 별 탈 없이 살아가는 흰뺨검둥오리 가족. 부화한 새끼들을 데리고 첫 나들이를 나선 이 단란한 일가가 카메라에 잡혔다.

수변식물인 갈풀 군락은 흰뺨검둥오리 등 수많은 철새들의 보금자리. 겨울 철새인 청둥오리는 밤섬의 터줏대감이 된 지 오래다. 서울에서 이곳보다 안전하게 새끼를 낳아 키울 수 있는 곳이 따로 없기 때문이다.

이밖에 시민들의 방생으로 이곳까지 흘러온 수입종 붉은 귀거북과 멸종위기에 처한 남생이와 자라도 어렵게 포착했다.

지금 밤섬에선 철새들의 먹이경쟁이 치열하다.

새들에게도 겨울은 가혹한 계절. 턱없이 모자라는 먹이 때문에 최소한의 에너지로만 연명한다는 게 제작진의 분석이다.

정재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