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시민단체 지역연대 강화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시민운동이 해를 거듭할수록 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의 질적 발전에 기여한다는 시민운동 본래의 설립취지에 부합하기 위해선 보완해야 할 점도 많다.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으로 지역공동체 시민운동도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우선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 '자산동원 모델' 이다. 이는 지역공동체.기관.단체들이 모두 긴밀한 파트너 관계를 유지해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른바 주민자치형이다.

예컨대 최근 뉴욕시가 슬럼가의 빈곤.약물.범죄 등의 문제를 지역 주민들과 지역 기관.단체들의 성공적인 제휴로 해결한 것을 들 수 있다.

재정환경이 미비한 한국의 지역사회단체들도 외부기관의 지원에 의존하기보다 지역의 풍부한 인적 자원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둘째, '사회자본 모델' 에 입각한 접근이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상호이익을 위한 협력이나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사회적 유대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여기에는 사회자본의 기초가 되는 주민들과의 관계, 단체들간의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정보화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단체들을 주축으로 시민사회단체 홈페이지 작업, 아파트단지 홈페이지 작업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새로 조성되는 아파트 단지의 경우 인터넷 서버나 각 아파트간 전산망을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각 지역 공동체 단체들이 전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주민참여를 확대시켜 나가면 지역공동체 운동이 급진전될 수 있다고 본다.

세번째는 '권력행사 모델' 에 의한 접근이다. 최근 고양시에서 주민들이 준농림지에 러브호텔.여관을 신축하지 못하도록 조례폐지운동을 성공시킨 사례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처럼 지역공동체에서 진행되는 권력행사 모델은 '시민없는 시민운동' 을 극복하는 가장 구체적인 운동이 되고 있다.

끝으로 이 세 가지 모델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다양한 파트너십 전략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많은 지역에서 진행 중인 시민단체들간의 지역연대가 필요하다.

또 교육문화.생활체육뿐 아니라 복지.자원봉사 등 폭넓은 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운영할 주부.정년퇴직자 등 전문 자원봉사자의 충원이 필수적이다.

주성수 <한양대 행정대학원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