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각중 전 전경련 회장 자서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민주주의와 자유, 경제발전과 인권을 모두 균형있게 발전시켜야 하지만 선배들의 지혜를 모두 짓밟아버리는 홍위병식 경거망동은 역사의 후퇴를 불러오게 된다."

1999년 11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전국경제인연합회를 이끌었던 김각중(79.사진) 경방 회장이 자서전 '내가 걸어온 길, 내가 가지 않을 길'을 8일 출간했다.

그는 이 책에서 최근 전경련이 처한 상황에 대한 편치 않은 심정을 드러냈다.

"전경련 해체론까지 나오는 것을 보면서 이거 야단이구나 싶기도 하다"고 술회한 그는 "내가 회장을 역임한 이후 후임 회장이 불과 몇 달 만에 물러나거나 전경련이 툭하면 국민 앞에 고개 숙여 사과할 일이 생겼으니 그리 아름다운 광경은 아니다"고 했다.

김 회장은 최근의 경제 상황에 대해 "공장들이 자꾸 해외로 옮겨가고 나면 대체 이 나라에 무엇이 남을까 두렵다"며 "기업은 떳떳하게 본연의 역할을 해야 하고, 정부는 규제를 대담하게 풀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노사 문제도 무조건의 평등의식만으로는 풀리지 않으며 그 같은 단순한 접근은 공멸의 길을 열게 될지 모른다"고 경고했다.

전경련의 앞날에 대해선 "보다 차원 높은 목표를 설정하고 이 나라의 건강한 경제발전을 위한 수레의 큰 바퀴 같은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원로로서 조언했다.

김 회장은 468쪽의 이 자서전에서 영어 공부에 몰두했던 중앙고 재학시절부터 도미유학, 고려대 교수, 경방 회장, 전경련 회장 등에 이르는 인생 행로를 담담하게 소개했다.

그는 99년 10월 대우 김우중 회장이 갑자기 사퇴한 뒤 어쩔 수 없이 전경련 회장 대행을 맡게 된 일에 대해 '나는 벙거지 회장이오'라는 제목으로 소개했다.

김 회장은 "내가 가지 않은 길은 나의 인생이 아니며, 내가 걸어온 길만이 나의 인생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거짓 없이 고지식할 만큼 성실하게 살아오려 한 내 인생이 소중한 것"이라는 글로 자서전을 끝맺었다.

박혜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