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 지하통과 고속전철 건설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서울 도심 한복판을 X자로 가로지르는 지하 광역고속전철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경부고속철도 일부 구간의 개통 시점인 2004년에 맞춰 추진되는 이 고속전철이 계획대로 완공(2010년 목표)되면 경부고속철 남서울역(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서 청량리역까지 25㎞를 30분에 주파할 수 있다.

또 분당 신도시에서 용산역까지 20㎞는 25분 안에 도착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경부고속철이 제 구실을 하게 하고 서울 및 위성도시의 교통체증을 덜기 위해 추진되는 계획이다.

서울시 지하철건설본부는 19일 이같은 '광역고속전철 건설 계획안(잠정)' 을 마련, 건설교통부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2004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계획안에 따르면 광역고속전철 A노선은 경기도 안산.평택 지점에서 출발해 남서울역~지하철 7호선 신풍역~영등포~여의도~서울역을 거쳐 청량리로 들어온다.

B노선은 경기도 여주.이천에서 양재역~논현동~한남대교~용산을 거쳐 수색으로 이어진다.

서울시는 이중 A노선 남서울역~청량리 구간과 B노선 양재역~용산구간을 먼저 착공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광역고속전철은 평균시속 60㎞(기존 전철 35㎞)로 지하철 일부 환승역에서만 서고 나머지 구간은 논스톱으로 달리게 된다.

◇ 과제〓서울시 관계자는 "내년에 9호선 전철이 착공되면 도심 지하철 확충이 끝나 2002년부터 광역고속전철 건설 추진을 경기도와 함께 본격화할 예정" 이라고 밝혔다.

건교부는 서울시의 잠정안을 교통개발연구원 등에 맡겨 타당성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재원마련이 큰 과제다.

고속전철 A, B노선의 서울구간(45㎞) 건설에만 최소 3조6천억원 이상이 든다는 계산이다.

서울시는 경기도와의 공조로 정부가 사업주체로 나서줄 것을 요청할 방침이다.

국가 주도로 광역고속전철을 지을 경우 국가.지자체가 전체 공사비의 절반씩을 분담하게 된다.

건교부 관계자는 "내년 중 용역결과가 나오면 재원대책과 경제적 효과 등을 종합 분석해 협의를 진행할 것" 이라고 말했다.

양영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