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양자대화 60~70% 합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막판까지 거듭된 북한과의 신경전에도 불구, 북·미 간 양자대화 재개와 관련된 미국 정부의 결정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 소식통은 3일(현지시간) “최근 이근 북한 외무성 미국국장과 성 김 미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 간 접촉에서 양자대화 개최와 관련해 60~70%의 합의를 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양측이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이전 스티븐 보즈워스 미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강석주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이 만나기로 합의했으며, 2005년 9·19 공동성명의 이행 재확인 부분에 대해서만 이견을 보였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미 행정부 내에서 북·미가 만나 북핵 문제를 풀자는 의견과 9·19 공동성명 이행 확인을 꺼리는 것은 비핵화 의지가 없는 것이므로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고 이 인사는 덧붙였다. 그러나 전체적 흐름은 북·미 양자대화 개최를 통해 북핵 문제에 ‘개입’해야 할 때라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북핵 6자회담 한국 측 수석대표인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4일 외교부에서 “(북·미 양자대화에 대해) 가장 최근에 들은 얘기는 미측이 조만간 입장을 정할 것 같다는 내용”이라고 말했다. 위성락 본부장은 5일 워싱턴을 방문해 미국 측과 최종적으로 협의에 나설 예정이다.

이언 켈리 국무부 대변인은 미국 측의 결정이 늦어지는 이유에 대해 “김 대표가 이제 막 (워싱턴으로) 돌아왔고,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해외 순방 중”이라고 말해 김 대표의 장관 보고 등이 이뤄진 뒤 발표가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일부에선 다음 주 중 북·미 양자회담의 시기와 장소가 발표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점치고 있다.

한편 미 국무부는 이날 북한의 폐연료봉 재처리 완료 주장에 대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북·미 대화 재개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지는 않을 거라는 게 관계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워싱턴=김정욱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