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신문, 우리도 만든다 -9. 문화신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시.소설.영화.연극.미술.음악.무용.방송.만화…. 그 중에서 마음에 드는 장르가 하나도 없는 사람도 있을까. 각양각색의 문화활동이나 문화현상에 눈을 돌리면 얼마든지 생동감 넘치는 문화신문을 만들 수 있다.

문화에 관한 소식이나 주장을 표현하는 방법도 기사뿐 아니라 광고.만화.소설.도서목록 등 무궁무진하다.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요즘 우리가 즐기는 문화의 현주소도 확인할 수 있는 문화신문 만들기. 신문을 한결 돋보이게 꾸밀 수 있는 정보그래픽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 기사를 소설로

①신문을 보면서 단편소설의 실마리가 될만한 기사를 골라 흰 종이에 오려 붙인다.

②그 기사를 바탕으로 쓰고 싶은 소설의 줄거리와 구성을 간단히 정리한다.

③실제로 소설을 쓴다.

또는 소설이 완성됐다고 가정하고 줄거리와 구성을 비평하는 글을 쓴다.

이때 친구끼리 서로 바꿔 비평하는 글을 쓰면 더욱 재미있다.

※교사.학부모께 : 글쓰기에 익숙지 않은 학생이라면 두세 명씩 모둠을 지어 글감을 고르고 소설의 줄거리나 구성도 정리해보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이라면 관심이 끌리는 기사를 바탕으로 동화를 쓸 수도 있겠지요.

◇ 주인공 인터뷰

①영화.연극.뮤지컬.오페라 등에 관한 신문 기사를 보면서 각자 보고 싶은 작품을 고른다.

②작품 속의 주인공이나 감독을 인터뷰할 차례. 같은 작품을 본 친구끼리 역할을 나누어 인터뷰한다.

③인터뷰 내용을 기사로 정리한다.

사진은 공연 팸플릿이나 신문에서 오려 붙이거나 그린다.

※교사.학부모께 : 영화나 연극 등을 직접 보기 전에 신문 기사나 광고를 보고 짐작한 내용이나 줄거리를 간단히 정리토록 해도 좋습니다.

실제로 보고 난 뒤 각자 예상한 것과 얼마나 같거나 다른지 비교하면 기사나 공연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더욱 북돋울 수 있으니까요.

◇ 방송 모니터

①방송 예고 기사를 보면서 각자 시청할 프로그램을 정한다.

②TV나 라디오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장.단점 등을 메모한다.

③모니터한 내용을 글로 정리한다.

※교사.학부모께 : 학생들 사이에 특히 화제가 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더욱 흥미진진한 활동이 되겠지요. 과연 좋은 프로그램인지, 학생들이 왜 좋아하는지 등 여러모로 생각해보도록 유도하세요.

◇ 만화

만화와 소설은 모두 줄거리.인물.시간과 장소.행동과 주제라는 기본 요소를 갖고 있다.

①신문에 소개된 작품들 가운데 직접 읽을 만한 문학 작품을 각자 고른다.

②자신이 읽은 작품을 만화로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간단히 정리한다.

③이렇게 정리한 요소들을 만화로 표현한다.

이때 작품 전체, 또는 일부를 만화로 나타낼 수 있다.

만화에 특별히 관심이 있다면 연재만화 형식으로 꾸미는 것도 좋은 방법.

※교사.학부모께 : 신문에서 마음에 드는 만화를 골라 소설로 나타내기 위한 기본요소들을 알아보는 활동부터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 책 광고 만들기

①신문에 소개된 책들 가운데 꼭 읽고 싶은 책, 또는 이미 읽은 책들 가운데 다른 친구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을 정한다.

②그 책의 어떤 점을 강조해 독자들을 설득할 것인지 생각한다.

이때 무조건 좋은 책이니까 한번 사라고 하기보다는 그 특징이나 장점을 구체적으로 알리면서 독자가 사고 싶은 생각이 들도록 한다.

③책을 소개하는 광고 문안을 만든다.

④좀더 많은 사람의 눈길을 끌기에 적당한 사진이나 그림을 곁들여 광고를 완성한다.

※교사.학부모께 : 틀에 박힌 독후감을 쓰는 것보다 책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북돋우는데도 한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때 광고할 책은 학생 스스로 골라도 좋고, 교사나 학부모께서 제시한 몇 가지 책들 중에서 선택 할 수도 있겠지요.

◇ 내 아이를 위한 추천 도서

①자신이 읽은 책들 가운데서 훗날 자녀에게 꼭 읽히고 싶은 책들을 골라 제목과 저자 이름을 쓴다.

문학.과학.역사 등 분야를 명시하는 것도 좋은 방법.

②신문에 기사나 광고로 소개된 책들 가운데서 마음이 끌리는 책을 골라 직접 읽은 다음 ①의 목록에 첨가한다.

③훗날 자녀에게 이 책들을 권할 때 자신이 좋은 책이라고 선정한 이유나 기준을 간단히 정리해 곁들인다.

◇ 당신을 초대합니다

①신문에서 특별히 마음에 드는 연극.영화.음악.미술.무용 등의 공연이나 전시회 등에 대한 기사 및 광고를 찾는다.

②신문에 소개된 내용을 바탕으로 안내장을 만든다.

신문에 실린 사진이나 그림 등도 적절히 활용한다.

※교사.학부모께 : 실제로 그 공연이나 행사 현장에 가서 자신이 만든 안내장 내용과 비교할 수 있다면 더욱 좋겠지요. 그 기사나 안내장을 보고 현장에 간 사람들이 지나치게 과장됐거나 잘못 전달됐다고 느낄만한 점은 없는지 따져보도록 하세요. 적절한 낱말이나 표현, 약도의 정확성 등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익힐 수 있을 것입니다.

문화행사에 대해 좀더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안목도 기를 수 있겠지요.

◇ 문화신문

지금까지 해본 활동들을 한데 묶어 적절히 편집하면 훌륭한 문화신문이 된다.

이때 가장 관심있는 주제를 정한 다음 인터뷰.설문조사.만화.사진 등 여러 형태로 신문을 꾸밀 수 있다. 물론 다루려는 주제나 소재에 따라 각각 만화나 그래픽, 또는 사진 위주로 신문을 만들어도 된다.

김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