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일기] 영원히 속일 수 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모든 사람을 잠시 속이거나 일부 어리석은 사람들을 영원히 속일 수는 있을지 몰라도 모든 사람을 영원히 속이지는 못한다" 는 말이 있다. 미국 링컨 대통령이 남긴 말이다.

비슷한 취지의 얘기를 얼마 전 옷 로비 사건을 수사 중인 양인석 특검보가 했다. 그는 "진실의 힘이 얼마나 놀라운가" 라고 말했다.

돌이켜 보면 옷 로비 사건은 이토록 우리 사회를 난장판으로 만들지 않을 수도 있었다. 남편이 구속될 위기에 처한 이형자(李馨子)씨가 옷이로든 뭐로든 로비를 시도한 것은 비록 옳은 일은 아니지만 있을 수 있는 일이다.

고급 의상실을 싸돌아다닌 고관 부인들도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그렇다고 거기에 법적 책임을 물을 수는 없는 일이다. 또 李씨가 옷값을 대납해 준 사실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설혹 김태정 전 검찰총장 부인 연정희씨가 고급 옷 로비를 받았다고 해도 그에 합당한 법적 책임을 물으면 될 뿐이었고 당시 金총장이 도의적 책임만 졌어도 이처럼 나라 전체가 요동치는 상황은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결국 거짓말이 문제였다. 延씨는 수백만원짜리 모피코트를 구입한 사실을 끝까지 숨기려 들었고 그 바람에 모든 게 꼬였다.

金전총장은 고백성명에서 "아내에 대해 주변에서도 억울하다고 감싸주는 바람에 그 걸 믿었다" 고 말했다. 이쯤 되면 검찰 수사가 왜 진실을 밝히지 못했는지 이해가 간다.

요즘 돌아가는 꼴을 보며 "지긋지긋하니 다 집어치우라" 는 반응이 적지 않다. "씨랜드 참사에서 자식을 잃고 이민을 떠난 어떤 가족의 심정이 이해가 간다" 는 말도 나온다.

하지만 이 난장판 속에서도 한가지 얻는 것은 분명 있다. 과거 군사독재정권 때는 몇명이 앉아서 '쓱싹' 하고 손을 씻으면 만사가 통과되곤 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더 이상 그런 방식이 통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다. 고위 공직자들이 서로 넘겨서는 안될 정보를 주고받고, 적당히 밀고 끌어주면서 국정을 농단하다가는 결국 모두가 파탄을 맞게 된다는 교훈을 이번 사건은 남겼다.

김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