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은 제철, 구미는 전자단지로 수십 년간 먹고산 것 아니냐 세종시에도 그런 걸 만들어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수십 년 먹고살 걸 만들어 줘야 한다.”

이명박(얼굴) 대통령이 최근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몇몇 청와대 참모들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기획도시’로 만들어져 성공적인 길을 걸어온 포항과 구미의 예를 들었다.“포항의 허허벌판에 포항제철을 만들어 주고, 구미 들판에도 전자산업단지를 세워 줬다. 그래서 (두 도시가) 수십 년간 그걸로 먹고살 수 있었던 것 아니냐”고 했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세종시에도 그런 걸 만들어 줘야 한다”며 “그래야 세월이 한참 흐른 뒤에도 잘한 것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고 한다.

이 발언이 전해지면서 이 대통령의 의중이 정부 부처 9부2처2청이 내려가는 세종시법(행정중심복합도시특별법)의 원안 강행과는 거리가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측근들은 “대통령은 정부 부처가 내려가는 것이 국가적으로는 물론이고 충청도민들에게도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특히 한 참모는 “세종시법 원안의 본질은 이전 정부(노무현 정부)가 중앙의 기득권을 마치 선심을 베푸는 듯한 태도로 떼어준 것이고, 따라서 그런 법에 따라 세종시 건설이 진행되면 충청권 미래에도 도움이 안 된다는 게 이 대통령의 확고한 상황 인식”이라고 설명했다. 이 참모는 “청와대 내부 토의 과정에서도 이 대통령이 이런 취지의 발언을 여러 차례 했다”고 전했다.

그렇다면 이 대통령이 구상하는 세종시의 발전 해법은 무엇일까. 청와대 참모들과 측근들은 ‘첨단도시 건설’이라고 입을 모은다. 실제 이 대통령은 포항과 구미의 예를 말하면서도 “당시로선 그게(제철산업과 전자산업) 최첨단 산업이었다”고 말했다고 한다. 포항은 이 대통령의 고향이고, 1960년대 말 조성된 구미의 전자산업단지가 호황을 누리던 70년대는 이 대통령이 현대그룹 임원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던 시기다. 이런 만큼 이 대통령이 세종시에도 이런 모델을 적용하려 한다는 게 참모들의 전언이다.

문제는 이 대통령이 2007년 대선 과정에서 ‘세종시법 원안 이행+알파(부수적 지원)’라는 공약을 내걸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세종시의 성격을 바꾸려면 충청권의 민심을 설득해야 한다.이 대통령은 지난 17일 장·차관 워크숍에서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한 정책에는 적당한 타협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정권에는 도움이 안 될지라도 국가에 도움이 된다면 한때 오해를 받는 한이 있더라도 그것을 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