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위 원자력 국감] 與 '사고은폐'의혹 추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월성 원전의 안전성 문제는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의 국감에서도 최우선 관심사였다.

여야의원들은 이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과 한국원자력연구소에 대한 질의에서 한 목소리로 원전의 안전성을 따졌다.

이상희(한나라당) 의원은 과기부나 KINS가 원전의 안전에 관한 한 만성 불감증에 걸린 것 같다고 꼬집었다.

李의원은 이번 중수 사고가 월성에서 여덟번째임에도 초기에는 4건, 중간에 6건으로 수정하는 등 안전규제를 위한 기초통계부터 부실한 것이 아니냐고 추궁.

이와 함께 원전 1기당 안전감시인력이 10명으로 미국(29명).프랑스(25명)의 30% 수준을 겨우 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KINS측은 "중수 누출이 정상운전 중 다섯번, 시운전 중 두번, 이번 보수 중 한번으로 총 여덟차례" 라고 확인하고 사고유형을 분류하다 보니 잘못 알려진 것 같다고 해명했다.

정호선(국민회의) 의원은 국민에게 사고상황을 누구보다 빨리 알려야할 KINS가 사고 발생 사흘째인 6일 오전 10시까지도 인터넷에 사고 사실을 공개하지 않은 이유를 따져 물었다.

KINS측은 "과기부와 인터넷 연동망이 최근 바뀌는 바람에 발생한 우연한 사고" 라며 의도성 부인에 안간힘.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의혹도 있었다.

조영재(자민련) 의원은 월성 원전 사고에서 순간피폭 기준치(3백밀리렘.mrem)를 넘어선 2명의 작업자는 마스크를 쓰고 있었다는 데도 내부피폭이 이뤄졌다며 사고 진상을 숨기고 있는 것이 아니냐고 물었다.

이상희 의원 역시 초기 과다피폭 작업자와 다른 작업자의 피폭량 차이는 방호복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했을 수 있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답변에 나선 KINS 김세종 원장은 "마스크를 쓰긴 했지만 규정에 정해진 것보다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착용, 피폭이 과다하게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고 밝혔다.

의원들은 현재 월성 원전 사고에 대한 상세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점을 감안해 이날 월성 현장에 특별검사 자료확인반을 급파하는 한편 12일 과기부에 대한 국감에서 이를 특별감사 대상으로 삼아 다시 다루기로 했다.

대덕단지〓김창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