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은 5000원짜리로 먹고 손님 식사도 2만원 넘지 마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점심은 5000원짜리를 먹자. 영세 음식점은 우리가 안 팔아주면 장사할 데가 없으니 거기서 먹자는 거다. 구호에 그치지 말고 몸으로 친서민 행보를 하자.”

“외부 손님이 와도 (식사는) 2만원을 넘지 마라. 그 이상은 호텔 같은 데 가야 하는데, 우리가 안 가도 장사는 되잖아요.”

이재오(얼굴) 국민권익위원장이 13일 공직사회를 긴장시키는 발언을 했다. 이 위원장은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공무원들은 솔선해 동네 영세 음식점을 이용하고, 형편 어려운 서민과 일대일로 결연해 도와줘야 한다. 그게 이명박 정부의 중도실용 친서민 정책”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위원장은 또 “고위 공직자 개인별로 청렴도를 평가해 순위를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청렴성을 어떤 양식으로 계량화할 수 있는지 연구하고 필요하면 외부 기관에 용역을 맡기려 한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이 고려 중인 청렴도 평가 범위는 2급 이상 고위 공직자들로 1500~2000명에 달한다.

그는 “투기 목적으로 위장 전입을 했다면 당연히 청렴성 지수가 떨어질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어 “9월부터 정부 기관과 공기업의 청렴도를 평가해 연내에 발표할 생각”이라며 “연속해서 하위에 들어간 기관은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또 “수사·기소권이 없는 권익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권익위·감사원·검찰·경찰·국세청 등 5개 기관이 참여하는 ‘반부패 기관 연석회의’를 정례화하는 방안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공직사회의 저항이 걱정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평생 저항을 받았다. 누군가 해야 하니까”라고 말했다.

백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