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발전부문 분리] 전력산업 민영화 前단계조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한전의 발전부문 분리안은 전력산업에도 경쟁체제를 도입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담고있다.

그러나 분할매각에 반발하는 노조측이 총파업을 결의하고 강력 저지할 계획을 밝혀 올 정기국회에서의 관련 법안 통과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 발전부문 왜 분리하나 = 전력산업의 민영화를 위한 단계적인 조치다. 지금까지 한전이 전기를 독점 생산하면서 경쟁력이 떨어졌기때문에 자회사를 단계적으로 민영화해 서로 경쟁시킴으로써 시장원리를 적용해나가겠다는 것이다.

자회사 1개사당 예상 매각 가격은 경영권을 포함, 20억~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현재 프랑스 국영전력회사인 EDF.미국의 엔론사 등 해외 전력회사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전력산업 구조개편 어떻게 추진되나 = 발전부문 분리는 정부가 추진중인 전력산업 구조개편의 1단계다. 올 정기국회에서 발전부문의 경쟁 도입을 위한 각종 법령을 정비하고 연말까지 발전부문 자회사 설립을 마치게된다.

2단계로 2002년까지 각 발전회사에서 공급하는 전기를 거래하는 '전력거래소' 를 설립하고 발전부문 자회사의 단계적인 민영화가 이뤄진다.

배전부문도 2001년까지 자회사로 분할돼 2002년부터 민영화가 추진된다. 2009년까지의 3단계에서는 발전.배전회사의 자유경쟁에 의한 전력도매경쟁이 실시되며 민간배전회사에 송전망이 개방되고 대 (大) 수용가에 대한 전력직거래제가 허용된다.

2010년이후의 4단계에서는 지역적으로 나뉘어 있는 배전망을 완전 개방해 소비자가 원하는 전력회사를 선택해 전기를 공급받는 전력소매 경쟁제도가 실시된다.

◇ 예상되는 쟁점 = 한전노조는 경쟁체제의 급격한 도입으로 시행 초기에는 전력사업에 경쟁체제를 도입한 영국.미국.일본의 경우처럼 지금보다 전기요금이 대폭 오르는 등 국민부담이 늘기 때문에 생산설비를 해외에 급하게 헐값에 팔지말고 일단 경영정상화에 주력한 뒤 전력수요가 정체기에 접어드는 2015년이후 매각여부를 결정하자는 주장이다.

농어촌.벽지 전력보급사업,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쓰였던 각종 공적부담을 민간 경쟁체제 내에서 어떻게 해결하느냐는 문제와 기존 종업원의 고용.소액주주보호 문제도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홍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