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특위 현장조사…조폐창 통폐합 집중추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19일 국회 '조폐공사 파업유도 국정조사 특위' 의 조폐공사 및 옥천조폐창에 대한 현장조사에서 조폐공사 노조의 전면파업 유도과정을 청와대가 사전 인지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조폐공사 노조 강재규 (姜在圭) 전 부위원장은 이날 신문에서 "지난해 9월 21일 직장폐쇄 철회 부탁차 만난 청와대 노동담당 비서관으로부터 '임금협상 문제가 구조조정 문제로 전환될 수 있다' 는 말을 들었다" 고 밝혔다.

姜전부위원장은 "이로부터 3일 후인 24일 공사측은 직장폐쇄를 철회하고 인쇄기계를 매각토록 지시하는 등 노조의 전면파업을 유도했다" 고 주장했다.

그는 또 "얘기를 듣기 사흘 전인 9월 18일 공안대책협의회가 열렸다" 며 "협의회에서 구조조정을 앞당겨 노조의 전면파업을 유도했다" 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날 여야의원들은 경산조폐창에 비해 시설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춘 옥천조폐창을 오히려 낙후된 경산조폐창에 통폐합하게 된 이유에 대해 집중 추궁했다.

특위는 20일 경산조폐창에 대한 현장조사를 벌인 뒤 23일부터 조폐공사.검찰청. 기획예산처. 노동부 .경찰청 등 5개 기관으로부터 보고를 들을 예정이다.

또 오는 26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청문회를 열어 강희복 (姜熙復) 전 조폐공사 사장, 진형구 (秦炯九) 전 대검공안부장 등 증인 27명과 참고인 15명을 신문한다.

최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