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하기 좋은나라 멀었다] 구매품목 수의계약없애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공정거래위원회는 올해 사업자단체 규제개혁의 하나로 52개 정부 구매품목을 '단체수의계약제도' 에서 제외했다.

그랬더니 '수출은 늘고 납품가격은 떨어지는' 일거양득 효과를 거뒀다.

단체수의계약제도는 정부나 공공기관이 물품을 구매할 때 해당 중소기업협동조합과 수의계약을 체결, 조합이 일정한 기준에 따라 조합원끼리 물량을 배분해 납품토록 하는 제도. 판로를 보장해줘 중소기업인이 생산활동에만 전념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로 지난 65년 도입됐다.

지난해말 현재 대상품목은 2백58개. 총 계약금액이 97년에만 3조8천3백41억원으로 정부 등 공공기관 총구매액 57조여원의 6.7%에 달한다.

이 제도는 그러나 경쟁을 배제함으로써 업체들의 기술개발과 원가절감 노력을 떨어뜨리고 신규가입 제한.물량 편중배정 등 사업자단체의 문제들을 고스란히 노출시켰다.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들이 시장에서 배제되는 규제로 작용한 것이다.

공정위는 이에 따라 올 1월 '단체수의계약제도 운용규칙' 을 바꿔 2백86개였던 품목을 2백6개로 줄여 경쟁체제로 전환했다.

지난달말 공정위가 대상품목에서 제외된 52개 품목에 대한 가격과 업체경쟁력을 비교분석한 결과 경찰관용 모자의 납품가가 지난해 2천7백94원에서 2천4백30원으로 13%, 우산은 4천8백원에서 4천원으로 16.7% 인하되는 등 11개 조사대상 품목 가운데 10개의 가격이 크게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실적도 지정제외된 품목의 회원사들이 98년 9천6백여만달러에서 1억6백여만달러로 10% 늘어난 반면 제외된 품목이 없는 조합의 수출은 오히려 21.5% 줄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