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 ‘기계화+과학 영농’ 기업형 농작 늘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6면

덩샤오핑의 고향 마을에서 추수기를 맞아 일손을 거드는 소녀의 함박웃음 속에 풍요로움이 가득하다. [중앙포토]

마오쩌둥 정권은 흔히 ‘중국 최초의 농민 정권’이라는 말을 듣는다. 도시 노동자에 의한 사회주의 혁명이 아닌 ‘농촌으로 도시를 포위한다’는 전략으로 신중국을 세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 60년 동안 중국의 농민 문제는 여전히 풀리지 않는 숙제다.

중국은 2004년부터 6년 연속 중앙 1호문건(국가 정책 어젠다)에서 삼농(농민·농촌·농업) 문제 해결을 강조하고 있다. 도시는 어느 정도 근대화되고 있지만 농촌은 아프리카 수준이어서 개발 필요성이 크다는 것이 바로 농촌 문제다. 도농 간 소득격차가 커지자 자연히 농촌의 잉여 노동력이 도시로 유입되고 있다. 이들처럼 도시로 와 노동자 역할을 하고 있는 이들이 농민공(農民工)이다. 이들은 도시에 값싼 노동력을 제공한다는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중국 대도시의 이방인으로서 적지 않은 사회 문제가 되고 있기도 하다. 중국에서 농업 문제의 요체는 농업만으로는 제대로 먹고살만큼 돈을 벌 수 없다는 현실이다.

이에 중국 정부는 산업 구조조정을 통해 삼농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거시적인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1952년 농업이 중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1%였다. 농촌을 근거지로 혁명을 성공시킨 농업대국의 면모를 보여준다. 개혁·개방 이후 세계의 공장으로 변신한 중국은 농촌의 유휴 노동력을 빨아들이며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을 육성했다. 이로 인해 2008년 중국의 농업 비중은 11.3%로 현격히 줄었다.

경작 방식도 크게 변했다. 소가 끌거나 농부가 손으로 땅을 매던 전통적인 농사는 옛말이 됐다. 드넓은 토지에 기계화·과학영농을 결합시킨 국영기업이 신농업을 이끌고 있다. 중국 동북부에서 강원도보다 더 큰 땅에서 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베이다황(北大荒)그룹이 대표적이다. 베이다황은 트랙터 3만4300대, 대형 콤바인 1만3000대, 벼 이앙기 3만7000대, 농업용 비행기 29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곳에서 일하는 사람들만 해도 79만 명에 달한다. 우리나라 전체 농민 수가 340만명인 것을 감안하면 그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요즘은 토지 경작권을 가진 농민들이 농지를 개인 재산처럼 사고팔면서 이런 농토를 모아 수십ha의 농사를 짓는 대농이 마을마다 수십명씩 탄생하고 있다. 

정용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