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티베트에 '당근정책'…철도.공업단지 개발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홍콩 = 진세근 특파원]중국 정부가 '티베트 (西藏) 살리기' 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티베트가 잘살게 되면 분리독립 움직임이 수그러들 것" 이라는 판단에서다.

봉쇄와 탄압으로 무작정 억누르기만 하다가는 자칫 '중국판 코소보' 가 될 위험이 있다는 내부 지적에 따른 것이기도 하다.

중국은 50년 티베트를 침공, 종주권을 빼앗은 뒤 65년 자치구로 승격시켰지만 독립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하는 등 탄압정책을 계속해왔다.

중국 국무원은 24일 티베트 자치정부를 통해 철도부설 계획을 발표했다.

티베트는 중국에서 철도가 연결되지 않은 유일한 변방지역. 철도부설은 따라서 중국 정부가 오랜 티베트 봉쇄정책을 포기했음을 의미한다.

철도는 1차로 라싸에서 신장 (新疆) 위구르의 우루무치 (烏魯木齊) 까지 연결된다.

이어 칭하이 (靑海) 성.쓰촨 (四川) 성을 지나 윈난 (雲南) 성 성도 쿤밍 (昆明) 까지 이어질 계획이다.

공사기간 10년에 총공사비는 줄잡아 20억달러 이상이 필요하다.

중국 정부는 또 티베트 지역에 맞는 에너지와 1차상품 가공업을 선정, 새로운 공업단지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이 야심찬 계획에 미국과 세계은행은 냉담한 반응이다.

세계은행은 최근 중국 정부가 자금지원을 요청한 '중국 서부 빈곤 감소 프로젝트' 에 대해 미국.독일의 반대로 1주일 동안 표결을 연기했다가 곡절 끝에 통과시켰다.

1억6천만달러가 제공될 이 계획은 약 6만명의 가난한 한 (漢) 족 농민을 티베트 접경지역에 이주시킨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미국.독일은 티베트인을 위한 티베트 개발이 아니라 티베트족 인구 구성비를 줄여 독립운동을 원천봉쇄하겠다는 속셈이라고 끝까지 반발했다.

환경운동가들 역시 티베트 개발이 지구 사막화를 촉진시킬 것이라며 이 계획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