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비 8% 내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정부와 통신업계가 유선전화의 시내·외 요금을 단일화하는 등 유·무선 전화의 요금 인하를 추진한다. 휴대전화 가입자가 단말기 보조금을 받지 않으면 통화료를 깎아주고, 휴대전화 가입비를 내리는 방안도 들어 있다.

업계에 따르면 KT는 3년 약정으로 유선전화에 가입하면 발신지에서 31㎞ 이상 떨어진 시외통화도 시내요금을 적용할 계획이다. 시외통화료(10초당 14.5원)는 시내요금(3분당 39원)보다 비싸다. 이장세 KT 홍보부장은 “정부의 통신요금 인하 방침에 부응하고, 장기 고객을 배려하려는 취지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SK텔레콤·KT·LG텔레콤 이동통신 3사는 신규 가입자가 단말기 보조금을 받지 않고 2년 이상 약정에 가입하면 통화료를 20%까지 깎아주고, 가입비를 1만원 정도 덜 내는 요금제를 선보일 예정이다. 휴대전화를 덜 쓰는 이용자를 위해 기본요금 5000원 미만의 선불 요금제도 도입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르면 이번 주에 이런 내용을 담은 ‘통신요금 인하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통신업계도 방통위 요금정책이 발표되는 직후에 새로운 요금상품에 대한 인가 신청을 할 예정이다. 익명을 요구한 방통위의 한 관계자는 “이번 방안으로 가계 통신비 부담이 8% 떨어질 것으로 본다. 지난해 저소득층 통신료 감면과 결합상품 출시를 통한 10% 인하효과를 보태면 통신비 20%를 줄인다는 당초 정부 목표에 근접하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최시중 방통위 위원장은 “충분하지는 않지만 가능한 대로 10%정도라도 (요금 인하를) 해볼까 한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이어 “이번만이 아니라 가능한 대로 낮추려는 노력을 꾸준히 해야 한다. 이명박 대통령이 선거 공약했던 20%선까지 낮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원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