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소보 전후 복구비 313억불…'군침도는 발칸특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코소보 전쟁의 끝이 보이면서 전후 (戰後) 복구사업과 경제재건이 몰고올 건설 특수 (特需)에 대한 각국의 기대감이 높아가고 있다.

70여일간의 공습으로 폐허가 된 유고연방은 물론 알바니아.마케도니아.불가리아.루마니아.크로아티아 등 주변국도 피해가 적지 않아 발칸반도 전체의 경제재건이 불가피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피해 및 복구 규모가 마셜플랜을 제외하고 '2차대전후 최대규모' 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유고정부는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 의 공격으로 현재까지 1천8백억달러의 직.간접 피해를 보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교량 50여개와 모든 민간공항.통신망.방송시설.발전소.정유시설 등 각종 인프라가 파괴된 것은 물론이고 산업활동 중단으로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는 것이다.

로마노 프로디 유럽연합 (EU) 집행위원장은 지난 4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매년 50억~60억유로가 최소 5년간 필요할 것" 이라고 발칸지역 경제재건 소요액을 추정했다.

해마다 EU 전체 국내총생산 (GDP) 의 2%를 적어도 2004년까지 쏟아부어야 한다는 계산이다.

그의 추산대로라면 앞으로 5년간 최소한 3백억유로 (약 3백13억달러) 의 특수를 예상할 수 있다.

복구비용 염출은 이미 대체적인 윤곽이 서있다.

유럽이 복구비용의 50% 이상을 부담한다는 방침이다.

전쟁은 미국이 주도했지만 평화정착은 유럽이 주도한다는 것이 지난 3, 4일 쾰른회담에서 확인한 EU 정상들의 의지이기 때문이다.

다만 대 (對) 유고 지원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의 퇴진과 연계한다는 조건이 붙어 있다.

EU는 코소보 전쟁 종식 이후에 대비, 이미 1억9천6백만유로를 예비기금으로 조성했다.

유럽 이외의 다른 나라에 대해서는 보스니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세계은행과 유럽부흥개발은행 (EBRD) 이 중심이 돼 동참을 요청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코소보 재건 전담기구인 '코소보재건국' 도 이미 신설해 놓았다.

이 기구는 전후 복구사업에 관심있는 각국 기업들을 위해 각종 사업 리스트와 함께 연락처를 명기한 인터넷 웹사이트를 조만간 가동할 예정이다.

세계 각국의 기업들이 군침을 흘릴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한 일. 다음주 중 독일 쾰른에서 열릴 예정인 발칸 재건을 위한 국제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구체화할 것으로 보인다.

EU의 이같은 코소보 재건 계획은 경제적 안정이 발칸지역 평화정착의 열쇠 가운데 하나라는 인식도 있지만 유럽 자신의 경제를 위한 측면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재정을 풀어 유럽 기업들에 사업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경기를 부양하고 실업을 줄여보겠다는 의도다.

파리 = 배명복 특파원, 최형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