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그때 오늘

외세 업은 정변의 한계, 김옥균의 ‘예정된 비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45면

김옥균은 일본 메이지유신을 모델로 한 ‘위로부터의 개혁’을 꿈꾸었다(사진=도쿄 한국연구원 소장).

“일본이 동방의 영국 노릇을 하려 하니 우리는 우리나라를 아시아의 프랑스로 만들어야 한다.” 1870년대 초 박규수의 사랑방을 드나들며 개화사상에 눈뜬 김옥균(1851~1894)은 1882년 두 차례에 걸쳐 메이지(明治)시대 일본을 둘러보고 마음 깊이 큰 뜻을 품었다. 사진은 박영효와 함께 일본에 갔을 때 나가사키의 우에노(上野) 사진관에서 찍은 것이다. 그때 그는 서재필의 기억처럼 “시대의 추이를 통찰하고 조선을 힘 있는 근대국가로 만들기를 절실히 바란” 선각이었다.

“청국이 자기 멋대로 조선을 속국으로 생각해온 것은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며, 우리나라가 떨쳐 일어날 희망이 없는 것도 여기에 원인이 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청국의 속박을 물리치고 완전한 자주국을 세우는 일이다.”

임오군란 이후 거세어진 청국의 간섭을 주권침해라고 생각한 그는 한시바삐 청국을 몰아내고 명실상부한 독립국가를 세우고 싶어 몸이 달았다.

1884년 8월 청불전쟁이 일어나 조선 주둔 청국 군의 절반이 월남으로 급파되기에 이르자, 그해 12월 일본을 등에 업고 청국을 이 땅에서 내몰려 했다.

그러나 김옥균의 꿈은 원세개가 동원한 무력 앞에서 산산조각 나고 말았다. 그때 그는 청국의 패권을 더욱 강하게 만드는 자가당착을 범했다.

“아아. 김옥균 무리의 경망스러운 행동은 위로 나라 일을 실패하게 하고 아래로 민심을 흔들리게 했다. 공적으로는 개화의 일을 완전히 그르치게 했고, 사적으로는 자기네 가족을 몽땅 망하게 만들었다. 한 번 생각을 잘못해 모든 일이 실패했으니, 이 얼마나 어리석고 얼마나 도리에 어긋나는 짓이냐!” 갑신정변이 실패로 돌아간 다음날. 한때 그와 생각을 같이 했던 윤치호가 정변 주도세력의 무모함을 통탄하며 남긴 일기가 가슴을 때린다.

정변 실패 후 일본으로 망명한 그는 1894년 한·일·청 세 나라가 힘을 모아 서구의 침략을 막자는 자신의 구상을 이홍장에게 설파하고자 상하이로 갔다가 자객 홍종우의 총탄에 맞아 불귀의 객이 되고 말았다.

“중국과 조선은 지금 문명이 동점(東漸)하는 풍조 속에서 도저히 독립을 유지할 길이 없어 보인다. 몇 년이 못 되어 망국하거나 국토가 세계문명 제국에 분할될 것은 추호도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의 삼화(三和)주의는 1885년 ‘탈아론(脫亞論)’을 써 중국과 조선을 침략대상으로 삼은 후쿠자와 유키치가 이미 폐기한 아시아연대론의 판박이였다. 그를 없애는 데 한·청·일 세 나라가 공모했을 개연성이 컸던 그때. 그의 말은 들어줄 이 없는 공염불에 지나지 않았다. 열강 각축의 소용돌이 속에서 살아남을 묘책은 무엇일까? 아시아공동체가 이야기되는 오늘. 한 세기 전 풍운아 김옥균을 고뇌케 한 화두는 여전히 우리 가슴을 답답하게 한다.

허동현 경희대 학부대학장·한국근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