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 당쇄신위 가동…정강정책까지 대수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6일 첫 모임을 가진 국민회의 당 쇄신위원회 (위원장 김근태 부총재) 는 사실상 '제2창당 전당대회' 의 준비기구적 성격을 띠고 있어 당 안팎의 시선을 모았다.

집권당의 구조변화는 정치권 전체의 질서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金위원장은 "쇄신위는 전당대회 공식 준비위가 출범하기 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될 것이며 강령과 당헌당규, 당의 시스템과 운영 등 당내 모든 분야에 대한 개혁안을 내놓을 것" 이라고 설명했다.

김대중 대통령도 지난 주말 김영배 (金令培) 총재권한대행의 비공개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국민정당과 집권당 면모를 갖추기 위한 포괄적 권한을 쇄신위에 부여하라" 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관심 가는 대목은 정강정책을 뜯어고칠 때 내각제 강령을 어떻게 할 것이냐는 문제. 국민회의는 DJP후보단일화 서명식날인 97년 11월 3일 "국가권력 체제의 지표로 내각책임제를 채택한다" 고 당 강령을 개정한 바 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차제에 대통령제로 환원해야 한다" 는 사견 (私見) 도 조심스럽게 흘러나오는 실정이다.

金대행은 이에 대해 "자민련과 내각제 약속이 있는 만큼 이 부분은 개정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을 것" 이라고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야당식 체질, 혹은 '공룡형 지도체제' 도 수술대에 오를 전망이다.

국민회의에는 현재 16명의 부총재, 20명의 직능별 특위위원장, 39명으로 이뤄진 지도위원회, 1백49명의 국가경영전략위원회, 2백39명의 비상근 부위원장 등이 있다.

金위원장은 "집권당으로서 국정운영에 혼선이 있음을 인정한다" 며 "쇄신위의 논의내용들을 인터넷 토론방에 올려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겠다" 고 했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